[도시미래=조미진 기자] 지난해 5월 폭발사고로 5명이 사망한 한화 대전공장에서 9달이 채 안 돼 또다시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3명이 목숨을 잃었다.
14일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금일 오전 8시 42분께 대전 유성구 외삼동 한화 대전공장 70동 추진체 이형공실에서 폭발과 함께 화재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근로자 A(25)씨 등 해당 이형공실 내부에 있던 것으로 알려진 조립동 직원 2명과 품질검사 직원 1명이 숨졌다.
폭발 충격으로 이형공실(115㎡ 규모) 지붕이 날아가고, 밖에서 내부가 훤히 보일 정도로 파손된 것으로 전해졌다.
소방당국은 로켓 추진체에서 연료를 빼내는 작업을 하던 중 폭발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고 당시 119 최초 신고자는 “강한 폭발음과 함께 검은 연기가 많이 올라온다”며 상활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고를 받은 소방당국은 2개 이상 소방서 인력과 장비를 동원하는 대응 2단계를 발령, 100명과 장비 40대를 투입해 오전 9시6분께 초기 진화를 완료했으며 인근 야산으로 확대된 불은 오전 9시25분께 진화했다.
현재 대전지방고용노동청은 한화 대전공장에 전면 작업중지 명령을 내렸으며 현장에 감독관 9명을 파견, 정확한 사고 원인 등을 조사 중이다.
이에 한화 관계자는 <도시미래>와의 통화에서 “해당 공장 이형공실에서 폭발로 직원 3명이 사망한 것이 맞다. 사고 수습 중”이라면서 “공장이 국가 군사보안시설이라 자세한 사고 상황, 경위 등을 말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사고 직후 한화 측은 입장문을 통해 “사망자 분들께 깊은 애도의 마음을 전하고 유가족들께 깊은 위로의 말을 전한다”고 밝혔다.
한편 사고가 난 공장은 국방과학연구소(ADD) 추진체 생산시설이던 곳을 지난 1987년 한화가 인수해 고폭화약, 로켓 추진체를 생산해왔으며, 일반인 출입이 차단 된 ‘가급 국가 중요시설’이다.
특성상 일반 사업장보다 위험성이 높을 수 있지만 지난해 폭발사고 발생 후 9개월이 채 안 돼 유사사고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직원 안전에 소홀하다는 비판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2018년 5월29일에도 한화 대전공장 충전공실에서 로켓추진 용기에 고체연료를 충전하던 중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5명의 직원이 숨지고 4명이 부상을 입은 바 있다.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