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관리 사각지대’ 소규모 공동주택 안전점검

올해 12억4천만 원 투입, 2021년 까지 4만5천여 세대 점검
뉴스일자:2019-02-07 10:45:10
[소규모 공동주택 노후/자료=KTV 뉴스 보도화면 캡처]

[도시미래=조미진 기자] 인천시는 자발적 안전점검이 어려운 노후 소규모 공동주택에 대한 점검을 전면 추진한다.

7일 시에 따르면 인천시내 비의무관리 아파트의 83%가 준공 후 20년 이상 경과한 노후 아파트로 안전사고 예방과 시설물 보수·보강을 위해 안전점검이 필요한 실정이다.

점검대상은 사용승인일로부터 20년이 경과된 비의무관리 아파트이나 군·구 자체 안전점검 계획에 따라 경과년수를 조정하거나 연립 및 다세대 주택 등 사업대상을 확대 할 수  있다. 

점검방법은 위탁기관인 한국시설안전공단 또는 주택관리사단체의 전문기술자가 정밀안전점검에 준하는 안전점검을 실시한 후 시설분야 안전관리계획 및 건축물 중대 결함 및 유지관리·보수 방법 등을 제시한다.

점검 비용은 시가 전액 지원해 올해 288개동을 시작으로 2021년까지 4만5000여 세대 추진을 목표로 한다. 총 사업비 37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며, 올해는 시비 지원과 군‧구 매칭을 통해 총 12억 4000만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인천시 관계자는 “소규모 공동주택 안전점검의 전면시행으로 재해 및 재난 등으로부터 안전관리 사각지대 없는 주거환경 조성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happiness@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