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소방본부, 실시간 대응위해 ‘119 영상 신고’ 도입

영상통화로 현장 응급지도…사물인터넷 소방시설 감시시스템 도입
뉴스일자:2019-01-22 11:55:13
 

[서울 소방재난본부, 소방안전 4대 대책+소방인프라 확충 계획 발표/자료=서울시 소방재난본부]

[도시미래=조미진 기자] 올해부터 ‘119영상 신고 접수시스템’ 도입 등 소방시스템과 소방공무원의 복지 등이 개선될 전망이다. 긴급 상황 발생시 119로 신고하면 영상통화로 신고자의 현장상황에 맞는 응급처치 지도 등 신속한 조치가 보다 쉬워질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9년 새로워지는 소방안전 4대 대책+소방인프라 확충’ 계획을 22일 발표했다. 

4대 대책은 △재난현장 황금시간 도착률 향상을 위한 시민편의성을 높이는 119신고 시스템 개선(상반기) △시민생활밀착형 예방안전관리를 위한 IoT 기반, 소방시설 실시간 감시시스템 도입(하반기) △참여와 협력을 통한 시민안전 확보를 위한 다중이용시설 관계인 안전관리 역량강화 △소방공무원 안전복지향상을 위한 직장어린이 집 설치 운영 등 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먼저 ‘119 영상 신고 접수 시스템도입’은 119신고 후 소방대 도착 전까지 신고자와 119접수 요원 간에 실시간 영상통화를 통해 심정지환자의 경우 심폐소생술(CPR) 처치 방법 및 가장 가까운 자동심장충격기(AED) 위치를 알려주며, 화재·구조현장은 즉시대응 가능한 소방력을 투입하게 된다. 

한강 수변 시민안전 강화를 위해서는 119수난구조대에서 운행하는 노후선박을 교체하고, 잠실수중보 상류의 안전을 위해 ‘광나루 119수난구조대’ 신설한다. 

시민생활 밀착형 예방안전관리를 위해 전통시장 ‘자율소화장치’는 소방차 진입이 곤란한 골목형 전통시장에 올 하반기부터 4개소에 시범운영하고, 2022년까지 시내 전체 전통시장으로 확대한다. 

또 사물인터넷(IOT) 기술기반 서울형 소방시설 실시간 감시시스템을 전면적으로 도입한다.  

불특정 다수가 모이는 대규모 다중이용시설은 특급, 1급 특정소방대상물, 공공기관 등 8064개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 소방기관과 2022년까지 합동훈련을 실시한다.

‘시민안전파수꾼’은 불특정 다수보다 마을·학교·기업 등 공동체 중심으로 양성하고, 교류의 기회를 확대한다. 

소방공무원을 위한 복지도 향상 된다. 소방공무원 치료를 위한 119안심협력병원은 은평성모병원이 상반기 중 추가돼 총 5곳이 운영하게 된다. 또, 소방재난본부 산하 직장어린이집을 올해 2곳이 내년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간다. 서울시내 21개 소방관서는 진도6.0의 지진에 견디도록 올해 ‘내진성능’이 보강된다. 

이외에도 소방인프라 확충을 위해 마곡119안전센터 신설, 소방관의 구조 기술능력 향상을 위한 소방행정타운 전문훈련시설 건립, 서울형 재난관리 인프라를 개발도상국으로 전파하는 데도 적극 나선다. 

2019년도 달라지는 소방제도는 △건축허가 등의 동의 요청시 건축물 설계도면을 소방서에 필수 제출 △소방법 위반행위 신고자에 대한 처리결과 통지 의무화 △2017년 12월26일 전에 허가를 받은 노래방 등 다중이용업소의 비상구 출구 발코니 및 부속실입구에 추락방지 설비 올해 12월27일까지 필수 설치 등이다.

이재열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장은 “시민 삶의 현장에서 안전을 혁신하고 주변에 산재한 안전 불평등을 해소해 시민이 안전하고 행복한 서울시정을 구현해 가겠다”고 말했다.  

happiness@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