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농식품부, 대중교통 사각지대 해소한다

오는 22일, 도시형ㆍ농촌형 교통모델사업 합동 설명회 개최
뉴스일자:2019-01-21 15:29:24
[농촌의 도로/자료=해외문화홍보원 홈페이지]

[도시미래=김명옥 기자] 국토교통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전국 농어촌 등 교통소외지역 주민을 위한 새 교통모델사업을 발표한다.  

국토부와 농식품부는 오는 22일 전국 기초 및 광역 지자체 교통담당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하는 도시형ㆍ농촌형 교통모델사업 합동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1일 국토부와 농식품부에 따르면 도시형ㆍ농촌형 교통모델은 농어촌 및 도농복합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소형버스(공공형 버스), 100원 택시(공공형 택시)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 2018년 12월27일 정부가 발표한 ‘버스 공공성 및 안전 강화 대책’에 반영됐다. 

이에 올해 국고 552억 원을 반영해 국토부는 78개 시 지역(도시형 교통모델), 농림축산식품부는 82개 군 지역(농촌형 교통모델) 내 교통소외 지역 주민 이동권 보장을 위해 차량 구입비 및 운영비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자체 최소 매칭 비율 5:5로, 국토부 265억 원, 농식품부 287억 원을 지원한다.

특히, 정부는 올해 7월 노선버스 주 52시간 시행에 따른 기존 노선버스의 일부 운행조정에 대비할 계획이다. 지역 수요를 감안해 기존 노선버스의 운영 효율화를 추진하되,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소형버스(콜버스 등), 100원 택시 등 대체 교통수단을 투입한다. 

한편 이번 합동 사업설명회는 교통 여건 변화에 따른 도시형·농촌형 교통모델사업 추진방향을 설명하고, 주민 이동권 보장이라는 목표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토부는 “국민 모두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하겠다”며 “특히, 올해 7월 노선버스 주 52시간이 시행되더라도 안정적 대중교통 제공을 위한 대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국토부와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일선 지자체의 농정 및 교통부서 간 소통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이 사업이 농촌지역 고령 거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도록 정책적 지원을 펼치겠다”고 전했다.

journalist.gil@hanmail.net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