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 조선수주 7년 만에 1위 유력

2011년 이후 중국 제치고 연간수주량 1위 달성 전망
뉴스일자:2018-12-10 11:19:37
올 한해 한국의 조선업 신규수주가 1000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를 넘어서면서 지난 2011년 이후 7년 만에 글로벌 1위 탈환을 앞두고 있다.

10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한국의 11월 누계 수주량은 1090만CGT(42%)로 중국 874만CGT(34%) 보다 216만CGT 앞섰다. 일본은 322만CGT(12%)에 그쳤다.

1월부터 11월 누계 발주량은 2600만CGT로 최악의 수주난을 보였던 2016년 11월 누계 발주량 1200만CGT에 비해 2배 이상 늘었다. 최근 3년간 선박 발주량은 2016년 1200만CGT, 2017년 2377만CGT(98%↑), 2018년 2600만CGT(9%↑)로 발주량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11월말 전 세계 수주잔량은 10월 말 대비 39만CGT 증가한 7885만CGT를 나타냈다. 중국은 102만CGT 증가했고, 한국은 8만CGT, 일본은 42만CGT 각각 감소했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908만CGT(37%)에 이어, 한국 2074만CGT(26%), 일본 1330만CGT(17%) 순이다.

선박 가격 흐름을 나타내는 11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지난달과 동일한 130포인트를 기록했다. 

선종별 선가 추이를 살펴보면 컨테이너선(2만~2만2000TEU)은 1억4900만 달러로 10월 보다 150만 달러 상승했으며 유조선(VLCC)과 LNG운반선은 가격 변동없이 각각 9250만 달러와 1억82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