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충남도시재생 정책과 상권 활성화’ 세미나/자료=충남연구원]
[도시미래=조미진 기자] 충청남도의 개발을 위해 지역특색을 살리는 도시재생 콘텐츠 발굴이 필요하고, 사업방식·재원확보 방식도 달라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15일 충남연구원은 ‘지속가능한 충남도시재생 정책과 상권 활성화’를 주제로 한 세미나를 열었다고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이날 권영현 충남연구원 연구실장을 좌장으로 김준태 도시여행자 대표, 강완수 충남도 도시재생팀 주무관, 윤병일 아산시 정책팀장 등은 충남형 도시재생사업 콘텐츠 발굴과 공공임대상가 활성화를 위한 토론도 벌였다.
또 황규홍 LH도시재생기구 박사의 ‘공공임대상가 조성과 운영 방안’, 김영기 소상공인진흥재단의 ‘민관협력에 의한 일본 빈점포 활용 사례’ 발표를 통해 젠트리피게이션(둥지내몰림 현상) 방지에 대한 아이디어가 나왔다.
특히 이날 임준홍 충남연구원 연구위원은 발표를 통해 현 중앙정부 주도의 사업 ‘공모’가 아닌 ‘제안방식’으로 바꿔야 한다고 역설했다.
임 연구위원은 “중앙정부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정책개발에 집중하고, 자치단체는 특성을 살린 독창적 도시재생의 발굴이 중요하다”며 “사업선정 방식도 단편적 공모사업방식보다 준비된 자치단체부터 차근차근 사업 추진이 가능한 제안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도권과 접한 충남 북부도시 외에는 도시축소 현상을 보이므로 이 위기를 기회로 살릴 수 있는 도시재생 기법과 콘텐츠를 적극 발굴·추진해야 한다”며 “도시재생은 안정적 재원확보가 중요한 만큼 참여주체·지역사회가 함께하는 크라우드펀딩 등의 재원 확보방법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