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중소기업 70%가 구축결과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중소기업중앙회가 672개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구축 실효성 제고방안 마련을 위해 실시한 ‘스마트공장 구축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한 결과 도입 중소기업의 70.2%가 스마트공장 구축결과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성 향상(46.3%) △공정 간소화(31.3%) △근로환경 개선(26.5%) 순으로 이유를 꼽았다.
설문에 응답한 672개 기업의 스마트공장 총 구축비용은 평균 1억5100만원으로, 기업부담 투자비용은 총 구축비용의 63.4%(평균 9600만 원)를 차지했다.
매출액 200억 원이 넘는 기업의 경우 총 투자비용의 67.9%를 투자해 매출액이 큰 기업일수록 구축비용과 기업부담금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기계부품조립, 소성가공(단조·압연·압출·프레스 가공) 순으로 기업부담 투자비용이 높았다. 기계부품조립의 경우 총 투자비용의 69.8%(1억3700만원), 소성가공의 경우 59.4%(1억1100만원)를 기업이 자체 부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축 수준별로는 기초, 중간1, 중간2로 단계가 높아질수록 총 구축비용 역시 높아졌다. 향후 스마트공장 구축 계획이 있는 기업은 53.6%(360개)로 나타났다. 예상 투자금액은 2억5000만 원이고, 계획 분야는 MES(36.6%), ERP(17.4%) 순이었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정책의 중소기업계 만족도 및 구축효과가 높은 만큼, 도입수준별 지원비용을 올릴 필요가 있다”며 “스마트공장 도입수준을 고도화하고 관련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정부 조달 참여시 구축 기업에 대한 가점부여 등 정책 인센티브 확충, 업종별 전문 대기업의 상생형 모델 참여 확대, 공급기업 경쟁력 강화 등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