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집’ 맞춤형 정비계획 착수한 전주시

전수조사로 안전진단 여부 따라 빈집정비
뉴스일자:2018-11-07 13:15:30

[도시미래=조미진 기자] 전북 전주시가 도심 내 방치된 빈집들의 정비에 본격 나섰다.

7일 시는 쓰레기·악취문제, 범죄발생 우려 등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빈집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오는 2019년 빈집 실태조사 및 정비계획 용역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이번 용역은 빈집이 늘어나면서 도시미관을 해치고, 주민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추진됐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에너지 사용이력이 없어 빈집으로 추정되는 지역 2000여 가구에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주택 관리현황과 건물 안전상태 등을 조사한 뒤 각 등급별 빈집정비 시행계획을 세울 계획이다.

특히, 안전등급의 경우 1~4등급으로 나눠 건물상태가 비교적 양호하고 안전한 1~2등급의 빈집의 경우 매입 및 리모델링을 통해 청년과 저소득층 등을 위한 사회주택과 매입임대주택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또, 건물상태가 불량한 3~4등급의 경우 빈집철거 및 관리계획을 수립해 정비하기로 했다. 빈집 밀집구역의 경우 소규모주택정비사업과 연계로 정비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시는 빈집의 부동산시장 유통을 위해 빈집정보를 조회·거래도 할 수 있는 ‘빈집은행’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방안을 수립하는 등 적절한 관리를 촉진시켜나갈 예정이다. 

시는 지난 2008년부터 빈집 정비사업에 총 12억1000만 원을 투입, 총 115동의 빈집을 공용주차장과 공용텃밭·반값임대주택 등으로 개선해왔다.

향후 전주시는 빈집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바탕으로 맞춤형 빈집정비계획을 마련, 정비 방향을 다각화하고, 활용여부를 주민 간 소통을 통해 모색할 계획이다.

김종엽 시 생태도시국장은 “전주시만의 다양한 주거생태계가 조성되도록 최선을 다하고, 빈집주변 주거환경도 정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