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공사를 한 곳에서 확인, 관리할 수 있는 통합관리시스템이 구축된다.
23일 조달청은 오는 2022년까지 5년간 공공공사 조달 관련 나라장터 및 업무처리시스템을 거대자료(빅데이터) 기반의 공공공사 조달플랫폼으로 전면 개편한다고 밝혔다.
조달청에 따르면 1단계로 올해까지 나라장터를 통해 공공공사 공사비 예측·하자관리정보 및 물가변동에 의한 계약금액 감액징후를 제공하고, 각종 조달서류 온라인 제출 확대를 통한 사용자 편의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2단계는 2020년까지 공사원가항목 분류기준 표준화, 유관기관의 공공공사 사업정보 및 시중물가지 가격자료 등과 연계를 통한 공사비 빅데이터 기반을 구축하게 된다.
3단계는 2020부터 2022년까지 공공공사 사업 전 과정을 통합·관리를 통한 빅데이터 기반의 공공공사 조달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조달청은 그동안 업무처리시스템을 기반으로 공사원가통합관리시스템, 나라장터 등과 상호 연계해 설계·공사비의 적정성 검토, 입찰·계약 등의 조달업무를 처리해 왔다. 그러나 새로운 시설업무 도입 시 단독시스템을 구축함에 따라 효율성이 낮고, 통계분석·활용이 제한적이었다고 조달청은 설명했다.
무엇보다 수요기관과 조달업체는 공공공사 사업정보 부족으로 예산편성 시 공사비를 예측하거나 하자관리, 계약금액 감액 조정 등을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조달청 관계자는 “이번 빅데이터 기반의 공공공사 플랫폼이 구축되면 나라장터 사용자 편의성 강화, 조달정책 지원은 물론, 적정공사비 확보와 예산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