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미래=윤민석 기자] 청년 창업인과 지자체 전략산업 종사자들을 위한 일자리 연계형 공공임대주택 1710호가 서울 창동·마곡, 경기도 판교·동탄·남양주, 경남 창원, 세종특별자치시에 들어선다. 14일 국토교통부는 주거복지 로드맵과 국토교통 일자리 로드맵에 따라 청년층의 창업・일자리와 연계된 공공임대주택인 ‘소호형 주거클러스터 조성 사업’ 공모를 통해 사업 후보지 7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공모 선정지구 개요/자료=국토교통부] 국토부에 따르면 선정된 사업 후보지 7곳은 교통 등 입지가 우수한 주거여건을 갖추고 있으며 지자체의 전략산업이나 창업 지원시설과 연계가 가능한 지역이다. 서울 도봉구 창동에는 문화 특화지역 내 음악공연 산업과 연계하고, 강서구 마곡동에 정보기술(IT)·녹색기술(GT)·바이오기술(BT)·나노기술(NT)산업, 성남 판교에 정보통신기술(ICT)첨단혁신기술, 동탄에 스마트시티산업, 창원 진해에 친환경 첨단산업 교육연구 산업과 연계하여 해당 산업 종사자들의 주거를 지원하게 된다. 또 경기 남양주와 세종 조치원에도 창업지원센터를 유치하고, 동시에 청년 창업자에게 주거를 지원한다. 소호형 주거클러스터 사업은 (예비)창업인을 위한 창업지원주택과, 지자체의 전략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지역전략산업지원주택 2가지 유형으로 추진 중이며, 전국 10곳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창업지원주택은 청년 창업인의 안정적 주거를 위하여 주거와 사무가 복합된 소호형 주택 평면과 더불어 창업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지원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역전략산업지원주택은 지역의 특화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에 이바지하기 위해 지자체별 전략산업에 종사하는 청년층에게 공급하는 주택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수요가 많은 곳에 사업을 확대하여 청년층의 다양한 주거 수요에 대응하는 다각적인 방식의 공공임대주택 공급 모형을 적극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