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 혁신성장 동력 연구개발 추진 업무협약 체결/자료=대구시]
스마트시티 실증도시의 원활한 연구 추진을 중앙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 등 7개 기관이 손을 잡았다.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획재정부 등 중앙정부와 대구광역시, 경기도는 지난 7일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연구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체결식에는 손병석 국토교통부 제1차관, 민원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고형권 기획재정부 제1차관, 권영진 대구광역시장, 임병택 경기도 시흥시장, 손봉수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원장, 대통령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연구개발 사업은 올해부터 2022년까지 5년간 총 1159억 원 규모의 연구비를 투입해 세계선도형 스마트시티 모델을 개발해 도시에 적용하는 연구사업이다.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모델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디지털 트윈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구현될 예정이다. 교통·안전 등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고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리빙랩을 에너지·환경분야에 직접 적용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대중교통수단분담률을 현재 21.9%에서 32.4%로 높이고, 5분 이내의 사고현장 평균 도착률을 현재 29.3%에서 90%로 향상시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경기도 시흥시는 미세먼지 5㎛·초미세먼지 2㎛이상 저감, 가구전기요금 20%, 시설물 전기요금 10%이상 절감 등을 목표로 제시했다. 독거노인 및 치매노인 토탈 케어와 장애인 생활권 보장, 관련 산업육성 및 비즈니스 창출도 도모한다.
이번 업무협약에서 각 주체는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연구개발의 효과적 추진과 실증도시의 성공적 연구 여건을 마련하기 위해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