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서해 해상 교통의 요충지인 격렬비도에 위치의 기준이 되는 국가기준점을 설치하고 정확한 좌표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국가기준점은 측량의 정확도를 확보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평면·높이·중력 성과를 갖는 3차원 기준점으로, 지적·시설물설계·시공측량 등에 사용된다.
서해의 독도라 불리는 격렬비도는 대한민국 서해에 위치한 3개의 섬(동·서·북격렬비도)으로, 그중 북격렬비도에는 등대 및 기상관측기지가 위치하여 인천・평택・대산항을 오가는 해상 교통의 요충지로서 서해바다의 길잡이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 중국 영토(산둥반도)와 가장 가깝고 해양자원이 풍부해 중국과의 어업권 분쟁이 빈번한 곳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이번 통합기준점의 설치는 단순히 서해 도서지역의 위치 기준점을 설치했다는 의미를 넘어 우리 영토의 위치를 공식 결정했다는 점에서 서해 해양영토의 주권 수호와 수산자원 보호를 위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정보원은 전하고 있다.
정보원은 이러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충청남도와 협력해 북격렬비도에 통합기준점을 설치, 최신 측량기술을 이용해 정확한 위치를 관측하고 북격렬비도의 통합기준점 좌표 값을 최종 고시했다.
이를 토대로 충남도는 통합기준점 주변에 관리 시설을 조성하고 상징물도 설치하는 등 격렬비도를 천혜의 자연 풍광을 이용한 관광자원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격렬비도 지역의 정확한 경계를 지적공부에 등록할 계획이다.
최병남 국토지리정보원장은 “측량이 어려웠던 지역에 대한 국가기준점 성과를 정비하고 표준화된 측량 방법을 제시하는 등 내륙지역뿐만 아니라 국내 전 영토에 대한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하도록 국가위치기준체계를 수립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