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권역생활권 및 116개 지역생활권 계획, 자료=서울시] 4년 만에 완성된 ‘2030 서울생활권계획’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8일 서울시는 각 지역의 자족성을 강화하고 지역 간 균형발전을 유도하기 위해 ‘2030 서울생활권계획’을 완성하고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2014년 서울시의 도시기본계획인 ‘2030 서울플랜’의 후속계획으로 최초 동 단위 세부 개발 내용을 담았다. 2030 서울생활권계획은 서울 전역에 대해 각 지역의 자족성 강화와 지역 간 균형발전 유도를 목표로 5개 ‘권역’ 생활권으로 나누고, 각 권역을 116개 ‘지역’ 생활권으로 세분화해 각각의 목표와 실천전략을 수립했다. 시에 따르면 5개 권역(도심권, 동북권, 서북권, 서남권, 동남권)과 116개 지역에 대한 생활권계획은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발전방안을 △도시공간 △산업·일자리 △주거정비 △교통 △환경·안전 △역사·문화·관광 △복지·교육의 7개 이슈를 제시했다. 또한, 생활권계획에는 서울 전역을 조사·분석해 어린이집, 주차장, 도서관, 공원 등 각 권역·지역별로 설치가 필요한 생활서비스시설을 11개 분야로 제시했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중심지 체계(3도심-7광역-12지역-53지구)를 최종 완성하고, 중심지별 육성‧관리방안을 수립했다. 특히 2030년까지 중심지 내에 상업지역 총 192만㎡를 새롭게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신규 상업지역 배분 물량의 70% 이상을 그동안 상대적으로 낙후‧소외됐던 동북권(59만㎡)과 서남권(40만㎡)에 우선 배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시 관계자는 “2030 서울생활권계획은 4년간 많은 지역주민의 관심과 참여로 만든 우리 동네의 ‘미래지도’”라며 “서울 모든 지역의 발전구상을 빠짐없이 촘촘히 담은 만큼 지역균형성장을 견인할 버팀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