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지구 유비쿼터스 시범도시 조성사업/자료=인천시] 인천시의 유비쿼터스도시계획이 구체화됐다. 22일, 인천시는 '인천광역시 유비쿼터스도시계획' 수립 용역 완료보고회에서, 현재 추진 중인 IFEZ U-City건설사업계획을 준용하고 신·원도심간 균형적, 통합적, 체계적인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할 계획을 밝혔다. 또한, Global Leading U-City를 지향하는 IFEZ의 방향에 원도심 부문 스마트 도시재생, GCF 유치 시너지 강화를 위한 Green City 및 녹색정보화 활성화를 위한 비전과 전략을 포함한 U-City기본구상과 이를 실현할 5대 분야 34개 서비스, 현장시설물/통신망/센터 등 기반시설계획과 조직/재원 등 집행계획(안)을 담고 있다.
이번 계획안은 그 동안 수립된 타 지자체 계획과는 차별화 되게 지역현안 중심, 체감·자족형 U-City 건설 및 지속 가능한 운영 방안, 서비스 및 기반시설 설치에 필요한 재원분담 기준 구체화, U-City 관련 정책의 추진 및 시행 사업 심의 기준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특히, 본 계획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원도심 및 도시개발사업지구 유비쿼터스도시 추진계획은 인천시가 최초로 선도적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따라서, 원도심에 대한 민간투자사업과 인천시에 예정된 149개 도시개발사업지구 건설 초기단계부터 U-City 계획을 반영할 전망이다.
한편, 인천시의 재정 여건상 대규모 정보화사업을 일시에 추진할 수 없어, 지역 불균형 발전 및 계층간 정보접근성에 대한 차별화가 형성된다는 지적이 따랐다. 이에 신·원도심 균형발전과 통합적·체계적 스마트시티 조성을 실현하고 시민 삶의 질을 조기에 개선하기 위해서는 2,000억 규모의 민간투자사업 유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인천시 관계자는 '현행 법에서 일정규모(165만㎡) 이상의 개발사업에만 유비쿼터스도시 건설사업이 적용 가능하도록 한 것은 원도심 균형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라며, '중앙정부의 지속적인 정책개선과 유비쿼터스도시 건설을 위한 기반시설인 U-City 통합운영센터 구축에 많은 비용이 수반되는 만큼 정부의 예산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