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광역시 울산대학병원 앞 교차로/자료=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는 신호등이 없거나 신호 통제성이 낮은 교차로를 대상으로 회전교차로 설치사업을 시행한 결과 해당 교차로의 교통사고 사상자수는 56.8%, 교통사고 건수는 50.5% 줄어들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행정안전부와 한국교통연구원이 2015년 회전교차로 설치사업이 완료된 88개소를 대상으로 개선 전·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27일 행안부에 따르면 교통사고 사상자수는 사업시행 전인 2014년에는 139명(사망 2, 부상 137)이었으나 시행 후 2016년에는 60명(부상)으로 56.8% 감소하였고 특히 사망자는 단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다. 사고 건수는 설치 전 91건에서 설치 후 45건으로 50.5% 줄어 교통사고 감소에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통행시간 감소 측면에서는 2015년에 완료된 7개소에 대해 분석한 결과 설치 전 교차로 평균 통행시간은 24.9초였으나 설치 후는 21초로 15.7%(3.9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안부는 교통사고 예방 및 교통운영체계 선진화 방안의 일환으로 2010년부터 회전교차로 설치사업을 추진하는 등 지난해까지 전국 484개소에 설치했다. 전체 교통사고의 절반이 교차로에서 발생한 점을 들어 행안부는 올해 14개소를 추가 설치하는 등 지속적으로 회전교차로 설치를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회전교차로 설치사업 효과와 우수사례 등을 공유하고 발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27일, 28일 양일간 천안시 상록리조트에서 한국교통연구원, 지방자치단체와 합동으로 회전교차로 업무 관계자 워크숍을 개최한다. 이를 통해 회전교차로 설치사업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교통사고 잦은 곳 관리 등 교통안전 분야의 업무역량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행안부는 기대하고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회전교차로는 통행요령 숙지와 함께 운전자들의 법규 준수가 중요하다”며 “교통사고와 통행시간 감소효과가 검증된 회전교차로 설치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