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철도 유휴부지 구간/자료=인천광역시] 인천 철도 유휴부지가 도시재생 자산으로 활용되는 원도심 재생모델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천발전연구원은 26일 2017년 기초연구과제로 수행한 “인천철도 유휴부지를 활용한 원도심 재생모델 연구” 결과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철도 유휴부지와 같은 도시 내 유휴공간의 발생은 지역쇠퇴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최근 이러한 유휴공간을 효과적이고 다양하게 활용함으로써 도시재생의 자산으로 가치를 주목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광주 푸른길 공원, 서울 경의선 숲길 등과 같이 쇠퇴된 도심 내 부족한 광역 선형공원을 조성해 도시재생으로 이어지는 성공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연구원에 따르면 인천에서는 수인선을 비롯한 도심을 가로지르는 철도시설이 폐선 돼 약 30km에 달하는 부지가 발생했지만 중장기적이고 효과적인 활용 방안이 모색되지 못한 채 일부는 사업자에게 매각되거나, 도로 등 타 용도로 전환되어 연속적인 공공공간으로서의 활용가치가 점점 떨어지고 있다. 현재 폐선구간 중 타 용도로 활용되지 않고 유휴화 된 철도 유휴부지는 중구 신흥동 일대를 비롯해 약 6km 정도다. 현재 철도 유휴공간은 각종 쓰레기와 잡초 등에 의해 관리되지 못하고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어수선한 공간으로 방치돼 있으며, 인근 지역 또한 노후하고 열악한 주거지를 형성하고 있고, 상권침체 또한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철도 유휴공간의 활용과 연계한 도시재생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철도 유휴공간은 철도시설공단의 ‘철도 유휴부지 활용사업’을 통해 지역경쟁력 강화 및 주민친화형 공간으로 다양하고 효율적이게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사업은 철도 유휴부지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주변 지역의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연계하여 통합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라 판단된다. 연구원은 “인천시는 철도 유휴부지가 긴 선형의 여러 행정구역을 넘나들고 있기 때문에 ‘철도 유휴부지 주변 도시재생 마스터플랜’의 수립을 통해 철도 유휴부지의 활용유형을 우선적으로 정립하고, 이와 연계된 다양한 재생사업을 발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조상운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철도 유휴부지를 활용한 도시재생은 계획구상부터 주민 등이 적극적인 참여를 전제로 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사업 완료 이후에도 지속가능한 공공공간이 될 수 있도록 사후 관리·운영 방안의 마련 또한 중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