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16배’ 경기도, 도시개발 ‘탄력’

약 900만㎡ 개발 완료, 26개 시·군 4700㎡ 규모
뉴스일자:2018-02-20 09:24:31

여의도 면적(290만㎡)의 약 16배에 달하는 4700만㎡ 규모의 도시개발사업이 경기도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2000년 도시개발법 시행 이후 최대 규모다.

 

 

[경기도 도시개발사업 연도별 지정 현황/자료=경기도]

 

 

20일 경기도가 최근 발표한 ‘2017년 경기도 도시개발사업 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경기도 26개 시·군 4700만㎡ 면적에 총 138개 도시개발구역이 지정돼 있다. 이 중 34개 지구(약 900만㎡)는 개발이 완료됐고, 나머지 104개 지구(약 3800만㎡)는 진행 중이다.

 

도시개발법은 기존 정부 주도의 도시개발방식에서 벗어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도시개발을 목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성을 높이고, 민간부문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제도다. 도에 따르면 도시개발구역 지정은 시·도지사와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 시장이 할 수 있고, 도에서는 10만㎡미만의 경우 시장군수가 지정한다.

 

도내에는 지난해 양평 다문지구 등 18개 지구(300만㎡)가 도시개발사업 구역으로 신규 지정됐다.

 

 

지역별로는 SRT 개통과 삼성 고덕산단 조성 등 개발 호재가 많았던 평택시 20개 지구, 용인시 16개 지구, 고양시 11개 지구 순으로 구역 지정이 많았다. 또 경기 남부가 110개 지구(3900만㎡)로 경기 북부 28개 지구(800만㎡)와 비교해 약 4배 가량 지구 지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행자별로는 민간시행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60.0%(80개 지구), 공공시행 사업 40.0%(58개 지구)로 나타났다. 사업방식은 보상금 대신 땅을 내주는 환지방식이 51.4%(71개 지구), 보상금을 주는 수용방식이 44.2%(61개 지구), 수용방식과 환지방식을 혼용 시행이 4.4%(6개 지구)로 나타났다. 환지방식은 도시개발조합 등 민간시행자(69%, 49개)가 주로 시행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 도시개발사업 시·군별 지정현황/자료=경기도]

승인기관별로는 시·군 자체 승인이 82개 지구, 경기도 53개 지구, 국토교통부가 3개 지구를 지정했다. 지구 가운데 64.6%(53개 지구)는 면적이 10만㎡ 미만인 소규모 도시개발이다. 도는 대규모 공공택지 공급을 축소하려는 정부정책 때문에 도시개발사업이 중·소규모 위주로 추진되는 영향인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도 관계자는 “2017년 전국 도시개발사업 구역 지정 건수 31건 가운데 35.5%를 경기도가 차지할 만큼 개발 수요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면서 “이번 통계를 바탕으로 도시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도시용지와 기반시설이 부족한 지역이 발전할 수 있도록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