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논의의 중심에 있는 자율주행기술
자율주행기술은 개발만 한다고 능사가 아니다. 개발속도에 맞춰 바로 현장에 투입되는 메커니즘이 불가능하다. 교통은 언제나 인간의 목숨을 담보로 하는 위험성을 갖는다. 실제 교통환경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수많은 안전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테스트베드(Test Bed)’는 특히 중요하다. 자율주행 관련 개발 및 안전성 검증을 위해 특정 시설 안에 평가환경을 구축해두고 다양한 평가를 진행해야 한다. 이는 필수 과정이다. 안전성이 완전히 확인된 뒤에야 비로소 자율주행 기술이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다.
특히 지금처럼 레벨3(고속도로상에서 운전자 개입이 필요 없는 수준) 상용화를 목표로 두고 있다면 개발 담당자들은 안전에 대해 더욱 냉정한 테스트를 반복해야 한다.
우리 정부도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디딤돌이 마련됐다. 국토교통부는 자율주행차 시험장 케이-시티(K-City)의 고속도로 환경을 개방한 것이다.
[자율주행차 테스트 베드 K-City 조감도/자료=교통안전공단]
이에 국토교통부는 약 110억 원을 투입, 자율주행차 실험을 위한 가상도시인 K-City를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주행시험장 내에 32만㎡(11만 평) 규모로 구축하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차 테스트 베드를 목표로 고속도로·도심·교외·주차시설 등 실제 환경을 재현, 2018년 말 전체 완공 예정이다.
이 같은 자율주행 자동차의 기술개발 촉진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전용도로 기반 자율주행 및 자율주차 안전성능, 고장 시 안전성능, 통신 보안성 확보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무엇보다 국토부는 오는 2020년까지 레벨3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자율주행차를 조기에 상용화하기 위해 K-City의 고속도로 환경을 우선 구축해 개방한다. 이 고속도로는 4개 차선과 반대방향 1개 차선 1km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이패스가 가능한 요금소, 분기·합류점, 중앙분리대, 소음 방지벽 등 실제 환경을 충실히 재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요금소의 좁은 길 통과, 요금소 전·후의 차선 감소․증가, 분기·합류점에서의 끼어들기, 소음 방지벽·중앙분리대로 인한 통신·신호 장애 발생 등 다양한 상황의 실험이 가능하다.
국토부 관계자는 “K-City 내 고속도로 환경을 우선 개방해 우리나라의 자율주행차 개발이 보다 빨라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차 테스트 베드인 K-City가 2018년 말까지 차질 없이 완공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자율주행차 테스트 베드 K-City 조감도/자료=교통안전공단]
한국형 자율주행 실험도시 K-City 평가시설 구성
자율주행차 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얼마나 실제 환경과 비슷한가’이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K-City는 실제 도로교통 환경을 재현하기 위한 도로 및 교통시설, 통신 환경을 구현하고 있다. 국내 도로교통 특성을 반영한 해당 시설에서 완성차 기반의 종합 안정성 평가가 가능하다. 내부 평가시설은 크게 도심부, 커뮤니티부, 자동차전용도로, 교외도로, 자율주차시설까지 5개 평가환경으로 구성돼 있다.
세계 최초 5G 자율주행 실험도시 구축 완료
최근에는 교통안전공단과 SK텔레콤이 K-City 주요 실험 구간에 5G인프라를 구축했다고 밝힌 바 있다. 자율주행 실험도시에 5G인프라가 구축된 건 세계 최초라는 평가다. 관련 자료에 따르면 5G는 차량-차량간 통신, 차량-IoT/관제센터간 통신 등 V2X(Vehicle to Everything)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다. 자율주행차는 5G인프라를 통해 사각지대의 차량 주행 정보 등 종합적으로 주변 환경 데이터를 주고받아 사고 위험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
국내 기업, 기관들에게 5G인프라를 개방하고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며 치열한 글로벌 자율주행 기술 경쟁 속 ‘5G+자율주행’이라는 강점을 바탕으로 한국이 경쟁을 주도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릴 것이라 기대된다.
[세계 주요 자율주행 실험도시/자료=urban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