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연 내용으로는 진입로·노변기지국·검지기 등(편도 2차선 7.7km) 시험도로와 편도 2차선 도로의 2차로를 최대 80km/h로 하는 기본주행, 돌발상황과 기상정보, 비상등, 장애물, 차선변경지원과 차간거리제어 등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기존의 자율주행은 자율주행차에 장착된 감지기(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를 기반으로 주변상황을 인식하나, 먼 거리나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상황은 감지기가 인지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자율주행차에 있어 감지기란 인간의 눈․귀와 같은 중요한 인식기관으로, 감지기가 주변 환경을 제대로 인식할 수 없는 경우 완벽한 수준의 자율주행을 구현하기 어렵다. 이러한 감지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로 인프라(V2I) 혹은 다른 자동차(V2V)에서 정보를 받아 사람의 개입 없이 스스로 방향전환, 감속하는 것이 자율협력주행 기술의 핵심이다.
이번 시연행사에서는 자율주행차가 최대 80km/h의 속도로 주행하다 감지기가 인식하기 어려운 7가지 상황을 가정해, 차로변경(회피) 또는 감속하는 기술을 보여줄 예정이다.
차로변경(회피)하는 상황은 전방에 작업구간이 있는 경우, 후미등이 보이지 않는 전전방 자동차가 급정거하는 경우, 전방에 고장 자동차(장애물)가 서 있는 경우다.
감속하는 상황은 우측 사각지대에서 다른 자동차가 진입하는 경우, 앞 쪽 도로가 얼어있는 경우, 주행차로가 줄어드는 경우(이후 차로변경), 다른 자동차가 갑자기 끼어드는 경우다.
이러한 기술들은 국토교통부가 추진 중인 ‘스마트 자율협력주행 도로시스템 개발 연구’의 중간결과물로, 당시 시연은 폐쇄된 도로인 여주시험도로에서 진행됐지만 연구가 완료되는 2020년에는 일반도로에서 자율협력주행이 가능토록 할 계획이라고 국토부는 전하고 있다.
특히 향후 자율협력주행 기술이 더 발전한다면 미래도로는 단순한 이동공간인 ‘도로망’에서 서비스공간인 ‘디지털망’으로 탈바꿈하고, 모든 자동차·인프라·사람이 연결되는 ‘초연결사회’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불어 교통흐름을 최적화 해 교통사고와 교통체증이 없는 도로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국토부 측은 누구나 필요할 때 자동차를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요자 맞춤형 교통시스템도 도입될 전망이라고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