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요 공약 중 하나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4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개최하고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 69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15일 국토부에 따르면 사업지는 광역지자체 44곳, 중앙정부 15곳, LH 등 공공기관 제안을 통해 9개 지역이 선정했다. 최종 선정된 시범사업지는 16개 광역지자체에 분포하고 있으며, 지역 간 형평성이 확보되도록 우선했다.
시·도별로는 신청수요가 많은 경기도가 8곳으로 최다 선정 지역이 됐으며, 그 다음으로는 전북·경북·경남에서 각 6곳씩 선정됐고, 상대적으로 수요가 적은 제주도와 세종시는 각각 2곳, 1곳씩 선정됐다.
사업유형별로도 특정 유형에 편중되지 않게, 유사한 규모로 선정했으며, 경제기반형은 폐조선소 부지를 활용하여 문화·관광·해양산업 거점으로 조성하는 경남 통영 1곳을 선정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지역별 특색을 살린 사업들 중심으로 선정됐으며, 향후 사업 추진 과정에서 우수사례로 발전시켜 타 지역으로 확산할 계획이라고 국토부는 전했다.
또한 내년 2월 선도지역 지정 후 활성화 계획을 수립해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며, ‘맞춤형 재생’ 추진을 위해 사업별 특성에 맞는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다.
더불어 시범사업 선정 과정에서 부동산 가격 상승이 높은 지역은 선정에서 배제했는데, 선정된 사업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시행시기를 조정할 예정이다. 사업 추진이 부진한 경우에는 내년 사업 선정 과정에서 불이익을 줄 방침이다.
국토부는 이번 시범사업과 향후 진행할 뉴딜사업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향후 뉴딜사업의 비전, 정책과제, 중장기 계획 등을 담은 ‘도시 재생 뉴딜 로드맵(가칭)’을 내년 초 마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