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인천시장 '시민행복애인(愛仁)정책 Ⅳ(원도심활성화) 기자설명회'/사진=인천시 제공] 인천구가 원도심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1조 원을 들인다. 인천시는 내항 중심의 중·동구와 경인전철과 경인고속도 주변의 남·부평·서·계양구 등 원도심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5년 동안 매년 시 예산 2천억 원을 투입하겠다고 24일 밝혔다. 시는 ▲공동작업장 설치 ▲공공임대상가 영세상인 우선 입주 ▲공가를 활용한 학습공간 지원 등 원주민의 지속적인 원도심 거주를 위한 방안을 약속했다. 인천시는 공영주차장 확대와 교통사각지대 버스노선 투입, 마을 공공디자인 사업을 비롯해 도시재개발 활성화를 위한 ▲용적률 상향 ▲임대주택 비율 완화 ▲노외주차장 폐지 ▲사회초년생·신혼부부 등을 위한 행복주택 건립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인천형 영구임대주택 '우리집' 1만 가구 공급 등을 강조했다. 또 ▲경인고속도로 일반도로 전환과 연계한 도로 주변 노후 주택 개량 ▲인천 내항 1·8부두 상업·관광개발 ▲인천항 주변 개항창조도시 개발 ▲화수부두 수산관광지 개발 ▲부평 십정동 페공장 영상문화밸리 조성 사업 등이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방안으로 올랐다. 이밖에도 시는 ▲남동공단 재생 ▲전통시장 현대화·특성화 사업 ▲폐쇄된 부평 은광 역사·관광 명소 개발 등을 추진해 주민들을 지원할 예정이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주민의 76%가 살고 있는 원도심은 경제 침체, 주택 노후화, 공원과 주차장 부족 등으로 쇠퇴의 길을 걸어왔다”며 “올해를 원도심 활성화의 원년으로 삼아 시민 중심의 주거공간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3조4천억원의 채무 상환으로 생긴 여력으로 도시균형발전 방안을 시행하게 됐다”며 “모두가 편안하고 쾌적한 삶을 살아갈 수 있게 하는 지속가능한 원도심 부흥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인천시의 원도심-신도시 균형발전 방안은 지난 2월 시·시의회·전문가 등으로 이뤄진 원도심재생협의회의 회의를 통해 수립했다. 시는 도시재생센터를 설치해 주민 참여를 유도하고 인천발전연구원·인천도시공사 등과 협업해 도시균형발전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