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9성곽마을 주거환경관리사업 위치도/자료=서울시] 한양도성에 인접한 9개 성곽마을 중 하나인 성북구 삼선동 ‘369성곽마을’이 역사·문화 재생지로 탈바꿈된다. 서울시는 제17차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성북구 삼선동1가 369성곽마을 주거환경관리사업 정비계획 수립 및 정비구역 지정 결정(안)’을 수정가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성북구 삼선동 11-53번지 일대 369성곽마을은 지난 2013년 주민 동의로 주택재개발 정비구역(삼선6구역)에서 해제된 이후 2014년 12월 주거환경관리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지역 주민들은 사업 초기에 마을 이름을 ‘369(三育丘)마을’로 짓고 369마을운영회를 비영리단체로 등록해 공공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정비계획에 따르면, 마을 초입부 보행환경을 개선하고 낙산성곽길 초입부의 경관을 저해하는 고물상 부지를 매입해 광장형 공원을 조성하기로 했다. 마을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는 혜화성결교회와 협약을 맺은 후 교회공간을 리모델링해 주민 교류공간으로 조성하고 공동체 활동을 위한 마을학교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 구릉지에 위치한 성곽 접근로 계단과 노후 골목길 포장을 정비하고 안전시설 설치, 자투리 공간을 활용한 쉼터 조성, 경사로 미끄럼방지 포장 등도 추진해 보행 친화마을로 만든다는 방침이다. 재해·사고가 없는 마을을 위해 CCTV, 보안등을 개선하고 방재용품을 곳곳에 설치하는 등 총 12개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문화 예술인이 많은 지역 특성을 감안해 공공사업을 통해 설치되는 ‘사랑방, 예술家, 마실, 전시관’ 등 4개 동의 주민공동이용시설을 중심으로 ‘369마을 홍보관’, ‘마을 기록 전시’, ‘작가 레지던시’ 등 지속가능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업도 추진된다. 공공부문 사업은 올해 실시설계를 거쳐 2019년까지 완료된다. 주민들의 관심이 높은 주택개량 지원사업은 주택의 경우 주택개량 비용의 50% 내에서 최대 1,200만 원까지 직접지원이 가능하며, 주택개량 및 신축공사비 저리 융자지원으로 개량은 가구당 4,500만 원, 신축은 가구당 최대 9,000만 원 범위에서 0.7%로 저리 융자도 병행해 추진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