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단계 서울형 도시재생지역 17곳 선정

도시재생활성화 14곳, 주거환경관리사업 3곳 발표
뉴스일자:2017-02-17 09:28:39

[도시재생지역 2단계 선정지역/자료=서울시]

 

서울형 도시재생사업이 서울 전역으로 확대 추진된다. 서울시는 영등포·경인로 일대 등 2단계 서울형 도시재생지역 총 17곳을 최종 확정했다고 16일 밝혔다. 2단계 사업지는 도심과 동북·서남권 등 서울 전 지역에 분포된 게 특징이다.

 

2단계 사업지 17곳은 중심지재생지역 7곳과 주거지재생지역 10곳으로 나뉜다. 중심지재생지역은 경제기반형 1곳, 중심시가지형 6곳으로 분류된다. 주거지재생지역에는 근린재생일반형 7곳, 주거환경관리사업 연계형 3곳이 포함된다.

 

중심지재생지역은 영등포·경인로 일대를 비롯해 △중구 정동 △성동구 마장동 △용산구 용산전자상가 △금천구 독산우시 △동대문구 청량리·제기동 일대 △강북구 4.19사거리 일대다. 시는 중심지재생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대책을 시행할 계획이다.

 

근린재생일반형 7곳은 △수유1동 △창3동 △불광2동 △천연·충현 △난곡·난향동 △안암동 △묵2동이다. 주거환경관리사업 연계형 3곳은 △신영동 △수색동 △목2동(마을공동체 활성화지역)으로 시는 향후 주거환경관리사업 선정을 위해 자문 절차를 생략한다.

 

이번에 선정된 지역에는 시가 올해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총 2천억 원 내외의 마중물 사업비를 지원한다. 각 지역별로 계획의 완성도와 추진 주체의 역량 강화 정도에 따라 오는 3월부터 계획 수립을 시작해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된다. 

 

진희선 시 도시재생본부장은 “2015년 이어 두 번에 걸쳐 도시재생지역 30곳을 선정하면서 서울형 도시재생이 쇠퇴한 도심부 위주에서 서울 전역으로 본격 확대되는 전기가 마련됐다”며 “물리적 재생만이 아닌 경제·사회·문화를 포괄하는 인문적 재생을 통해 공동체의 복원과 지속가능성을 담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