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미촌 내 폐공가에서 개최된 설치미술 전시회/자료=전주시] 60여년 동안 닫혀있던 전주의 대표적 성매매집결지인 선미촌이 문화예술의 옷을 입고 시민 곁으로 다가선다. 전주시와 전주문화재단에 따르면 5일부터 오는 9일까지 선미촌 내 폐공가 부지를 문화재생을 통해 열린 공간으로 바꾸기 위한 첫 번째 문화예술 행사인 설치미술 전시회를 개최한다. 작품 전시회가 열리는 곳은 전주시가 매입한 선미촌 중심부에 위치한 폐공가로, 선미촌 문화재생사업의 첫 번째 결과물로 평가된다. 선미촌 문화재생은 선미촌 내 폐공가와 성매매업소 등 4필지의 토지(628㎡)와 건물을 매입해 인권·문화·예술거점공간으로 활용하는 등 성매매집결지를 기능 전환을 통해 거대한 시민예술촌과 여성인권 상징공간으로 바꾸는 프로젝트다. 시는 매입한 폐공가를 쪽방 형태의 여인숙 건물의 일부를 보존해 성매매업소의 기억의 공간으로 남겨두는 한편, 성매매업소의 경우 지역의 예술인들이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 정주형 창작예술공간으로 조성해 선미촌에 문화적 활력을 불어 넣는 핵심 문화거점공간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시는 이번 설치미술 전시회에 이어 올 연말까지 예술가들의 선미촌 내 공간에 대한 기록탐색과 기획전시, 생활창작공간 체험활동 등을 진행한 후 오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2단계 사업과 3단계 정주형 예술창작공간화 작업을 거쳐 선미촌을 인권과 문화의 공간으로 탈바꿈시킬 계획이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국내 성매매집결지 정비가 주로 공권력을 동원해 강제로 행해져왔던 것과는 달리, 행정과 시민단체 등이 힘을 모아 문화예술을 통해 시민들에게 열린 공간으로 변화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면서 “이번 전시회가 선미촌을 문화가 창조되고 시민들이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공간인 서노송예술촌으로 변화시키는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