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위치도/자료=용산구] 서울 용산구가 미군부대 이전을 앞두고 한강로 일대 도시개발 밑그림을 새롭게 그린다. 지난 2일 ㈜대한콘설탄트·㈜디에이그룹과 용산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수립 용역 계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작업에 착수했다. 용역비만 7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은 서울역부터 한강로를 따라 용산역과 한강대교 북단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이다. 해당 면적은 349만㎡로 용산구 전체 면적(21.87㎢)의 16%, 용산공원 주변지역(895만㎡)의 39%를 차지한다. 역사적으로는 일제강점기 경부선 철도를 중심으로 군사기지와 일본인 거주지, 역전 부근 유곽이 모여 있던 곳이다. 1987년 용산 전자상가가 들어서며 이태원과 함께 지역 경제의 2대축을 차지해 왔다. 용산 지구단위계획은 지난 2010년 한 차례 변경 결정된 바 있으나 이후 미군부대 이전이 구체화되는 등 사회·경제적 변화가 잇따랐다. 용산역 주변 특별계획구역의 경우 최근 개발사업이 활발히 진행 중이지만 서측의 용산 국제업무지구 특별계획구역은 2013년 이후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한 상태다. 구는 지난 19일 용산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하고 재정비 방향과 일정을 모색했다. 오는 7월까지 현황조사 및 기초자료 분석을 끝내고 하반기에는 권역별 주민협의체를 구성해 기본구상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후 지구단위계획 열람 공고와 소관 위원회 자문 및 심의 등 법적 절차를 걸쳐 2017년 12월 용산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결정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미군부대 이전에 발맞춰 용산이 제2의 도약을 시작했다”며 “철저한 계획과 대주민 소통을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보존하는 가운데 한강로 백만평 개발계획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고 용산을 대한민국의 랜드마크로 만들어가겠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