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한겨레뉴스DB] 21일, 북한이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각 도의 외국 자본 유치와 경제 개발을 위한 '경제 특구 개발'구 14곳을 정해 보도했다.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은 신의주에는 특수경제지대를, 각 도에는 모두 13곳의 경제개발구가 설치된다고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북한은 평안북도 용운리를 신의주시에 포함시켜 이 일대를 압록강경제개발구로 개발한다. 황해북도에는 신평관광개발구와 송림수출가공구의 경제특구를 건설할 계획이다. 도 자강도는 만포시에 농업과 관광휴양·무역이 중심인 자강도 만포경제개발구로, 위원군에는 광물자원 및 목재·농토산물 가공이 중심인 자강도 위원공업개발구를 만든다.
강원도 원산시는 현동리에 정보산업·경공업의 현동공업개발구로 지정했다. 함경남도에는 함흥시에 흥남공업개발구와 북청군 문동리·부동리 등에 북청농업개발구가 들어선다. 함경북도에는 청진개발구, 어랑농업개발구, 온성섬관광개발구가 세워지고, 양강도에는 혜산경제개발구, 남포시에는 와우도수출가공구를 각각 개발한다.
북한이 13개의 경제개발구와 신의주 특구 개발을 공식 선언함에 따라 향후 이들 지역의 외국자본 유치 작업이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개발구에서 각각 추진하겠다고 밝힌 외국자본 유치 규모는 약 1조6800억원(15억9천만 달러)에 이른다. 각 개발구 별로는 최소7000만 달러에서 최대 2억4000만 달러 규모를 목표로 한다. 한편, 북한은 2002년 신의주시를 입법·사법·행정 자치권을 부여하는 특별행정구역으로 정했다. 그러나 초대 특구 행정장관인 양빈이 탈세 혐의로 중국에 구속되면서 개발이 중단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