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문산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노선도/자료=국토교통부] 서울~문산 민자고속도로 건설사업이 늦어도 오는 11월 안에 착공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9일 서울~문산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에 대한 실시계획 승인을 관보에 고시했다고 밝혔다. 실시계획 승인에 따라 서울~문산 고속도로는 오는 11월 전에 공사를 시작하고 보상계획을 공고하는 등 사업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고속도로는 ‘익산~평택~수원~광명~서울~문산’ 간 260㎞의 국토 서부축 간선도로망 중 수도권 마지막 구간으로 남북 경협 및 통일 대비 노선이며, 경기서북부 지역에 구축되는 최초의 고속도로다. 총 투자비 2조 2,941억 원을 들여 총 연장 35.2㎞(고양 덕양~파주 문산)를 잇는 4~6차로로 2020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3개의 분기점(JCT), 8개의 IC, 본선에 2개의 영업소(TG)가 설치되며, 이용객의 안전·편의 증진을 위해 양방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양휴게소가 설치된다. 서울~문산 간 고속도로는 당초 2017년 개통을 목표로 했으나 노선 갈등으로 착공이 미뤄지며 개통 시기도 3년 늦어졌으나 지난해와 올해 1천억여 원이 넘는 건설비용이 확보되면서 청신호가 켜졌다. 실시협약 상 사업시행자인 서울문산고속도로㈜는 이번 실시계획 승인 후 3개월 내에 공사를 시작해야 하며 착공 후 5년 내에 완공해야 한다. 이 사업은 파주·고양지역의 교통난 해소와 남북한 간 인적·물적 교류를 위해 추진한 것으로 개통될 경우 사회간접자본(SOC)건설에 따른 경기 부양과 일자리 창출 등의 시너지 효과까지 발생해 지역경제가 크게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는 전체 토지보상비 1조 1,100억 원 가운데 올해 예산 1,100억 원을 연내 집행해 경기에 활력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그동안 녹지보존 문제로 논란이 돼 온 고양시 국사봉 구간(1.9㎞)은 실시계획이 유보됐다. 고양시 등 관계기관 협의 결과에 따라 변경 승인하는 조건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환경부는 앞서 지난해 12월 ‘고양시 국사봉 구간 휴게소 외곽 이전과 터널화 방안을 강구하라’는 의견으로 서울~문산 민자고속도로 건설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는 조건부 승인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