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조명을 통한 도시 경관디자인: 전주한옥마을 ②

전주한옥마을의 경관디자인 현황
뉴스일자:2015-08-06 14:34:50

[전주한옥마을 경관디자인 조사 대상지/자료=전주시]


전주한옥마을의 경관디자인 현황을 살펴보면 공공공간 및 건축물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전통요소를 가미한 정비사업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다는 평가를 할 수 있으나 공공시설물, 옥외광고물, 안내사인 등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고기능성·통합성·안전성·환경성·연속성·정체성 측면에서 각각의 문제점들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공공시설물은 전통요소를 반영한 장식적인 디자인이 대부분으로 시설물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거나 내구성이 약한 재료의 사용으로 인한 시설물 기능 손실, 내국인 및 외국인 이용을 고려한 다국어 표기에 대한 기준의 미비로 인한 정보전달 효율성 저하 등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형태적으로 부피감이 과도해 보이거나 시설물 설치 시 디테일부족으로 미관 저해 및 이용 불편 초래, 안정성이 부족한 과도한 디자인 남발로 공간적 낭비가 심하고 보행자들의 보행과 시야를 방해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점포디자인을 포함하여 간판 등은 주변 환경과 어울리지 않는 장식적인 형태 및 색채로 도시경관을 저해하고 있으며, 설치 기준의 미비로 설치 위치, 면적, 방법 등이 산발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전주한옥마을에 있어서 전통지구와 조화되지 않는 공공시설물 등의 설치는 일관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시설물의 난립으로 인해 정보전달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공공공간 보행로, 녹지 등은 전주한옥마을 공공공간에 마을이 환경을 쾌적하게 하기 위한 수경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나 물의 중간 곳곳이 막혀 유수의 흐름을 방해하며 보행환경 뿐 아니라 공공공간의 물이 넘쳐 보행자에게 불편을 주고 있다.

 

보행로는 보행자의 편리를 위해 설치되어야 하는데 진입 턱 부분에 과다한 플라워가든 식재로 인해 보행하는 데에 큰 장애가 되고 있으며 이는 띠녹지 역시 마찬가지로 보도 대부분을 잠식하여 보행자가 보행로를 피해 가야 하는 불편이 있다. 대부분 녹지가 과도하게 설치되고 있으며 문화재 건축물에는 식재환경이 너무 많은 공간을 잠식하고 있어 건축물의 모습이 녹지로 왜곡된 느낌을 준다. 건축물이나 보행로의 기능이나 볼거리가 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공시설물은 보행자도로 부분에 중앙을 크게 잠식·설치하였거나 색채가 부조화를 이루고 있다. 보행자용 펜스는 시각적인 차폐감을 주고 있으며 전기배선들이 들어있는 분점함의 경우 지상시설물이라는 문제점과 밑 부분이 더 넓어 보행에 불편을 준다. 지상에 설치된 시설물들의 색채가 목재나 돌담에 맞지 않는 금속재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반사면이 많아 시각적인 눈부심이 발생하고 있다. 전통문화재 또한 관광안내소의 설치물과 색채부분에서 이질감을 주고 있다.

 

[전주한옥마을의 경관디자인 사례/자료=전주시]

 

가로조명시설은 보행로에 설치되어 있는 바닥조명 대부분이 그 기능상 용도가 불분명한 가로조명시설물이 많으며 고건축물의 규모가 2~3층용 시설물에는 경기장용 조명탑을 설치함으로 과도한 휘도와 함께 주간에 보여지는 느낌이 건축물에 비해 조명탑의 크기가 크다. 이는 대부분의 가로조명시설물이 규모가 크며 심미적이지 못하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조명기구는 가로조명 간판 및 이동식 배너, 현수막 등과 함께 주변 환경과 어우러지지 못하고 있다. 이는 건축물이 한옥이거나 고풍스런 색채 등을 이용하는 데에 반해 조명기구는 르네상스풍 주물조명이나 모던한 형태의 디자인 가로조명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주한옥마을 내의 경관디자인 문제는 이외에도 주차공간이 확보되어 있지 못해 거리의 이동로가 막히고 현대식의 점포나 판매진열대 등이 부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 있다. 한 공간에서 보여지는 현대식 건물과 한옥마을의 전통가옥에 대비 또한 조형성만을 강조한 시설물의 기능이나 전달력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보여지고 있다.


안내사인, 옥외광고물은 마을의 인지성을 쉽게 알 수 있도록 배려하는 안내사인 디자인이 안내판보다 지주의 하부가 너무 크거나 주변 환경과 일체감이 없어 관광객으로 하여금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건축물의 주소명판이나 명주가 색채나 크기 등 일관성이 없고 옥외광고 및 간판 역시 마을 건축물과는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마을의 상징적 문화재 건축물 역시 현대식 색채나 옥외광고물, 주변 상가건물에 의해 이질감이 있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