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원선 철도복원사업, 통일로 가는 교두보 될까

백마고지~월정리 9.3㎞ 1단계 7월 말 착공, 2017년 완공
뉴스일자:2015-06-29 13:19:41

[경원선 복원 계획도/자료=국토교통부]

 

한국전쟁으로 단절된 경원선 철도 남측구간 백마고지역~군사분계선 11.7㎞ 복원공사가 광복 70주년을 맞아 7월 말부터 시작된다. 국토교통부는 그동안 보류됐던 경원선 백마고지역~군사분계선 복원공사가 이번에 확정돼 백마고지역~월정리역(9.3㎞) 구간 공사를 1단계로 착수한다고 28일 발표했다.

 

지난달 경원선 복원계획이 국무회의를 통과한 데 이어, 25일 통일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에서 공사비(1,508억 원)를 ‘남북협력기금’으로 지원하기로 결정한 데 따른 후속조치다. 1914년 개통된 경원선은 용산~원산 간 물자 수송 역할을 해오다 한국전쟁으로 남북 접경구간이 파괴됐으며, 정부는 지난 2012년 경원선 신탄리~백마고지역(5.6㎞) 구간을 먼저 복원했다.

 

그간 분단 70년을 맞아 통일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실질적으로 통일을 준비한다는 차원에서 아직 연결되지 못한 경원선 구간의 복원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시돼 왔다. 이와 관련 통일준비위원회에서도 ‘한반도 종단철도 연결(철원~원산~나진~TSR)’과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추진동력 유지 등을 위해 경원선 복원을 가장 시급히 추진해야 할 사업으로 제안한 바 있다.

 

박근혜 대통령도 3·1절 기념사를 통해 “사전준비 일환으로 우선 남북철도 남측 구간을 하나씩 복구하고 연결하는 사업을 시작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전문기관의 기술조사 용역을 통해 철도복원 선형, 사업비, 공정계획 등을 검토하고 관계 부처의 협의 등을 거쳐 범정부 차원의 경원선 복원 계획을 마련했다.

 

이번 공사는 1단계로 백마고지역~월정리역(9.3㎞) 구간부터 추진한다. 1,290억 원을 투입해 설계·시공을 동시에 하는 ‘패스트트랙’ 방식으로 진행하고, 오는 2017년 말 완공 예정이다. 남은 월정리역~군사분계선(2.4㎞) 2단계 구간은 비무장지대(DMZ)에 자리해 향후 남북 합의가 이뤄지면 추진할 계획이다. 경원선 북한 구간 역시 양측 협의 후 우리 정부가 자재와 장비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복원할 방침이다.

 

[남북철도 연결사업 현황/자료=국토교통부]

 

이번 사업은 남북 병력이 대치 중인 지역에서 추진되는 사업의 특성을 감안해 지뢰 제거, 설계·시공 병행 추진 등의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방부, 환경부 등 관계 부처가 긴밀히 협조할 방침이다. 원래의 경원선은 철새 도래지와 태봉국 도성 터를 지나기에 노선을 동쪽으로 이동해 건설하며 준공 후 관광객들의 출입이 편하도록 민통선을 조정하는 방안을 국토부와 국방부가 협의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경원선 복원사업은 분단 70년을 맞아 통일을 준비하는 차원이자 단기적으로는 생태·안보 관광 활성화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 장기적으로는 유라시아 철도망 연결의 첫 관문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또한 “복원지역 주변에 제2땅굴과 DMZ평화박물관, 철새도래지 등이 있어 관광객이 크게 늘 것”이라며 “사업에 차질이 없도록 국방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경원선이 복원되면 평양~나진을 잇는 평라선, 나진~러시아 하산철도 및 시베리아횡단철도(TSR)와도 연결된다. 중국과 연결되는 경의선은 평양을 관통한다는 이유로 북한이 노선 활용에 부정적이고 동해선은 남북 구간은 연결했으나 남측의 강원 강릉역~고성 제진역 복원에 2조 원이 추가로 필요한 상황이다.

 

정부가 남북관계에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거액을 들여 생색내기 사업을 벌이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현 정부가 남북관계 진전을 위해 한 일이 하나도 없는 가운데 대통령이 관심을 보였다는 이유만으로 사업을 진행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지난 정부가 연결한 경의선과 동해선을 활용하지 않고 경원선 남측 마지막 구간을 복원하는 데 대해 부정적인 의견도 있지만 국토부는 “경원선은 수도권에서 시베리아횡단철도(TSR)를 잇는 최단거리 노선이자 남북 화해를 넘어 통일로 가는 교두보로서 매우 중요한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실질적인 통일준비 차원에서 경원선 복원 계획을 내놓았지만 정부의 복원 의지와 달리 남방한계선 이북 지역에 대해서는 남북 간 협의가 필요한 만큼 실제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남북관계의 해빙이 전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