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선 복선전철 위치도/자료=충남도] 국토교통부는 서해선 복선전철 건설사업 기공식을 22일 홍성역 일원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충청남도 홍성에서 경기도 송산까지 90.01㎞ 구간을 신선으로 건설하는 사업이 첫 삽을 뜨게 됐다. 이번 사업은 2020년 완공을 목표로 총 사업비 3조 8,28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예정 노선은 홍성과 예산, 당진, 아산, 경기도 평택과 화성 등으로 8개 역이 설치되며, 이 중 합덕역과 안중역, 송산역 등에는 화물 취급시설이 설치돼 물류 처리 역으로서의 기능을 갖게 된다. 서해선 복선전철에는 기존의 새마을호에 비해 속도가 1.6배 정도 빠른 시속 250㎞급 고속 전철(EMU-250)이 운행되어 서울까지 1시간대 이동이 가능해진다. 충남도는 서해선 복선전철이 개통하면 홍성에서 영등포까지 이동시간이 53분으로 줄어드는 등 수도권 접근시간이 크게 단축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장항선을 이용할 경우 홍성역에서 영등포까지 이동 소요시간은 1시간 49분이다. 서해선 복선전철은 경부축에 집중되어 있는 지역 개발과 산업 물동량을 분산시켜 국가 균형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장항선, 신안산선과 연결되어 서해안 지역 주요 항만 화물 및 여객에 대한 철도 수송체계 구축으로 서해안 신 발전축을 마련한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또 남북 종단 간선 철도망이 구축되면서 남쪽으로는 천안~온양온천 복선전철 및 장항선, 북쪽으로는 원시~소사, 소사~대곡, 경의선까지 연결되고 향후에는 북한을 지나 중국 등 동북아를 잇는 환황해 초광역철도로서의 기능도 갖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밖에 천혜의 자연 환경과 역사·문화 관련 관광 자원이 어우러져 있는 서해안 지역이 관광 거점으로 성장해 나가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며, 서해연안 관광객 증가를 견인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생산유발 8조 7,336억 원, 고용 창출 6만 6,091명, 임금 유발 1조 3,044억 원 등의 경제적 효과도 예상된다. 22일 열린 기공식에서 안희정 지사는 “서해선 복선전철은 수도권 서부와 서해안 지역을 연겨라는 물류수송망 구축, 충남 서북부지역 신 산업지대 물류비 절감 효과는 물론, 21세기 환황해 아시아 경제시대 대한민국 성장 발판이 될 것”이라며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홍문표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은 “서해선 복선전철은 경의선과 연계해 북한~중국~러시아~유럽 대륙을 하나의 경제공동체로 연결하고, 이를 통해 북한의 개발을 유도해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되며 수도권 접근시간 단축, 국토 균형발전, 신규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제 활성화 효과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충남 홍성, 전북 군산 등 서해안 지역은 1931년 장항선이 개통된 이후 약 80여 년간 제대로 된 철도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했으나, 서해선 복선전철이 건설됨으로써 교통난이 완화되고 물류비용 부담이 감소되어 전자분야, 제조업 등 대규모 산업단지와 연계한 서해안 지역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