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지 전경 및 위치도(부산 동구 초량 1·2·3·6동)/자료=부산시] 부산 원도심을 비롯한 부산역 주변을 되살리는 도시재생사업이 활기를 띠게 될 전망이다.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13. 12. 5.)에 따른 첫 국가 선도사업인 ‘부산 원도심 재창조를 위한 창조경제플랫폼 구축사업’이 정부 승인됨에 따라 부산 원도심 활성화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이번 선도지역 활성화 사업은 그동안 부산시가 주도해 제정하게 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의한 주민주도형 첫 도시재생사업이다. 이는 도시재생이 시급하고 주변지역에 대한 파급효과가 높은 지역에 대해 국가와 지자체가 중점적으로 시행하며, 향후 4년간 500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새로운 산업기능으로 전환하고 있는 ‘북항재개발사업’ 지역과 철도시설 이전적지의 전략적 요충지인 부산역 광장 일원 ‘철도재배치사업’ 을 통해 산업기능의 공간적·기능적 연계 및 교류·유통·지원을 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창조경제플랫폼 구축사업’이 정부 승인됨에 따라 사업비로 4년간(2014~2017년) 국비 250억 원을 지원받게 됐다. 또한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지원기구로 지정된 국토연구원, 건축도시공간연구소,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전문기관의 행정·기술적인 사항을 지원받게 된다. 이번 활성화 사업 추진 과정에서 선도사업과 연계가능한 정부부처의 사업들도 지원을 요청할 수 있게 됐다. 이번에 승인된 ‘창조경제플랫폼 구축사업’의 추진체계는 사업초기부터 시민과 전문가, 행정(관계행정기관 포함)이 함께하는 사업추진협의회를 구성하여 사업을 추진하게 되며,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의 14개 사업은 지역주민의 욕구와 지역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동구청에서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한편, 부산역 광장 일원에 추진될 창조지식터미널 건립, 광장 입체공원화 사업, 문화예술광장 조성 등 ‘창조지식플랫폼 구축사업’은 이달 중 디자인 설계공모를 실시하여 조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주민역량강화를 위해 올초부터 도시재생대학의 운영과 사업초기부터 사업전반에 대한 컨설팅 및 모니터링을 실시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