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한 재료로 자유로운 공간을 구현한 압달리 몰의 실내 전경 <출처 : MECS+R> 플렉시블 디자인은 건물 유연성과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유연한 건축디자인이 건축물의 수명과 기능성을 어떻게 향상하는지 살펴본다.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도시 공간은 점차 복잡하고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건축 디자인의 유연성이 더욱 중요해지는 이유다. 유연한 건축 디자인은 미래도시의 핵심요소이며, 그 중요성은 여러 측면에서 드러난다. 우선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기후 변화로 도시의 기후 조건이 예측하기 어려워지고 있으며, 자연 재해의 위험성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축물은 다양한 기후 조건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유연한 건축물은 온도 변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해 자원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다목적 사용이 가능해야 한다. 도시 공간의 부족과 인구 증가로 공간 활용도 최적화해야 한다. 유연한 건축물은 다양한 용도에 활용할 수 있으며, 시간에 따라 기능을 변화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예를 들어 공간 분할벽을 이용해 하나의 공간을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인간 중심의 디자인이 필요하다.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이 사용자의 요구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유연한 건축물은 사용자의 다양한 베드룸(Bed Room) 조건에 맞춰 개조할 수 있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해 거주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이 필수 요소이다.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은 미래 세대를 위한 책임이며, 이를 위해서는 유연한 건축 디자인이 필수적이다. 재사용 가능한 자재의 사용, 에너지 효율적인 시스템의 도입 등 유연한 건축 디자인의 일환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유연한 건축 디자인은 미래 도시의 핵심요소로 간주한다.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고, 다양한 용도에 활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개조될 수 있는 건축물은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한 핵심요소이다. 따라서 건축가와 디자이너들은 이러한 측면을 고려해 더욱 유연하고 지속가능한 건축물을 설계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