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로티 구조

① 필로티[Piloti]의 정의
뉴스일자:2024-03-28 08:08:57
The Commons <출처: archdaily>

 

필로티[Piloti]는 프랑스어로 건축물을 지지하는 기초 말뚝 또는 기둥을 의미한다.

 

오늘날에는 건물 지상층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벽면 없이 기둥만으로 지탱하고 개방한 구조의 건축물이나 그러한 건축공법을 의미한다. 필로티 구조는 통상 건물 1층에 위치하며, 건물로 지상을 점유하지 않고 교통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특색을 가지고 있다.

 

필로티 건축양식은 1920년대 프랑스의 건축가 르코르뷔지에(Le Corbusier)가 제창한 새로운 건축의 다섯가지 요소(Les 5 points d' une architecture nouvelle)“의 첫 번째 원칙으로 제안되면서 현대 건축의 보편적인 양식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우리나라는 2002년부터 다세대·다가구 주택의 1층 주차장 설치가 의무화되면서 필로티 구조의 건축물들이 급속도로 증가하게 됐다. 필로티 구조는 지상층을 비워두고 2층부터 거주함에 따라 보안 및 사생활 보호에도 도움이 되었고, 주차공간을 확보해 지하 주차장을 따로 조성하지 않음에 따라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2015년에는 전국의 도시형 생활주택(단지형 연립주택과 단지형 다세대주택, 원룸형 주택) 13,933동 가운데 필로티 구조가 88.4%(12,321)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