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 거더교(Girder Bridge) / (우) 아치교 (Arch Bridge) ▲(좌) 트러스교(Truss Bridge) / (우) 라멘교(Rahmen Bridge) ▲(좌) 사장교(Carble Stayed Bridge) / (우) 현수교(Suspension Bridge) 교량의 구성은 상부구조(차량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판 바닥틀, 주형으로 구성)와 하부구조를 지지한다. 상부구조로 부터의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교대, 교각 및 기초로 나뉘며, 상부구조에는 상판, 주형, 브레이싱, 교량받침, 신축이음장치, 방호 울타리 등으로 나뉜다. 1)상판 : 차량 하중을 직접 받는 부분(철근 콜크리트 슬래브, 강바닥판) 2)주형 : 상부구조의 주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상판을 지지하며 상부구조에 작용하는 모든 하중을 지점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 3)브레이싱 : 수평 브레이싱(횡방향 하중에 저항), 수직 브레이싱(하중분재의 역할) 4)교량받침 :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연결하는 구조부분으로, 상부구조로부터의 모든 힘은 이 받침을 통해 하부구조에 전달된다 5)신축이음장치 : 교량의 온도 변화, 활하중에 대한 이동,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장치 6)방호 울타리 : 사람이나 차량의 추락 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난간, 방호책, 방호벽 하부구조는 상부구조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지반에 안전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교대와 교각을 의미한다, 교대는 교량의 시종점부의 받침을 교각은 시종점부 이외의 중간 받침을 말한다. 교각 밑에 지반상태에 따라 직접기초, 말뚝기초, 우물통기초등 형식이 결정이 된다. 지반상태가 매우 좋으면(기초밑에 바위가 있을 경우) 직접기초를 올려놓는다, 하지만 암반층이 더 밑에 있으면 말뚝이나 우물통으로 암반층까지 교각에서 받는 힘을 암반층으로 전달해준다. 교량의 종류에는 교면의 위치에 따른 분류, 사용 재료에 따른 분류로 나뉜다. 1) 교면의 위치에 따른 분류에는 상로교(차선이 주형 위에 있는 경우), 중로교(차선이 주형안에 있는 경우), 하로교(차선이 주형 아래 있는 경우)가 있다. 2) 사용 재료에 따른 분류에는 목교, 석교, 강교, 철큰 콘크리트교, psc콘크리트교, Preflex-Beam교로 나뉜다. 3) 상부구조 형식에 따른 분류에는 거더교, 아치교, 트러스교, 라멘교, 사장교, 현수교로 나뉜다. 그 중 아치교의 구분에는 타이드 아치교(지점상의 횡변위를 타이드 바가 잡아주는 구조 형식, 랭거 아치교(아치부가 축력만을 받도록 설계되는 형식), 로제 아치교(아치부가 축력과 휨에 저항하도록 설계하는 방식), 닐센 아치교(아치부의 행거가 케이블로 이루어져 있으며, 약간 경사지게 배치되는 형식)가 있다. 사장교는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휨모멘트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경간이 장대한 사장교를 경제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이때 케이블의 배열 및 장력, 케이블 수, 주탑 및 보강형에 케이블이 정착되는 위치, 탑 기초부의지지 조건, 탑과 케이블의 결합조건 등을 고려해야한다. 현수교는 주 케이블의 수평장력에 관계되는 주요 변수들을 적절히 결정함으로써 보강형의 부담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장대 현수교를 가능케 할 수 있다. 현수교의 계획 및 설계시 고려되어야 할 주요 항목은 보강형의 연속성, 중앙 경간과 측경간의 비, 중앙 경간과 새그의 비, 행거의 배치, 보강형의 형식, 주탑의 형식, 강바닥판과 들보의 합성 및 비합성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