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한 단계 발전한 ‘스마트폴’(전기차 충전 및 드론 스마트폴)을 이수교차로, 신용산역, 성북동길 일대 3개소 총 6개를 구축했다.
스마트폴은 도로시설물(신호등·가로등·CCTV·보안등 등) 본연의 기능뿐 아니라 공공와이파이, 지능형CCTV, 사물인터넷(IoT), 스마트횡단보도까지 제공하는 도시 기반시설이다. 이번에는 전기차 충전기능과 드론 탑재 충전이 가능한 드론 스테이션 기술이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
‘전기차 충전 스마트폴’은 도로변 가로등에 1시간 내 충전이 완료될 수 있는 급속 충전기능과 폐쇄회로TV(CCTV), 공공와이파이,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스마트 기능이 융합된 스마트폴이다. 드론이 머물고 충전도 가능한 ‘드론 스마트폴’은 △서초구 반포천 일대(이수교차로, 반포종합운동장 인근)에 2개가 설치되어 도심 내 드론을 활용한 교통·안전 개선용 실증시설로 활용한다. 고정 카메라로만 교통정보를 수집하던 교통감시지주(pole)에 드론 탑재와 충전이 가능한 스테이션 기술을 적용, 이동식 드론이 촬영한 교통정보를 더해 세밀한 교통체증 원인 확인과 개선 지원시설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또 불법주정차 단속·계도업무와 시민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기기로의 드론 활용 방안을 실증할 계획이다.
2020년도부터 구축을 시작한 똑똑한 도시기반 시설 ‘스마트폴’은 서울광장, 청계천, 숭례문, 구로구 일대 등에 현재까지 149개가 설치됐고, 올해 상반기 내 강동구·종로구·동작구 일대에 131개의 스마트폴을 설치해 총 280개를 구축할 예정이다.
박종수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스마트폴은 가로등과 같은 도로시설물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전기차 충전, 폐쇄회로TV(CCTV) 등 시민에게 필요한 스마트도시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똑똑한 인프라”라며, “시민 안전과 편의를 향상하는 친환경 도시기반시설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 스마트폴 설치 전체현황
연도 | 구축 대상지 (지자체) | 전체 수량 (개) | 사업 내용 | 진행현황 |
2020년 | 성동·종로 중구 일대 | 26 | 다양한 도로 환경에 스마트폴 표준모델 시범 구축 - 신호등·가로등·CCTV·보안등 스마트폴 - 성동구(12개), 중구(11개), 종로구(3개) | 구축완료 |
2021년 | 구로구 | 116 | 스마트폴 표준모델 확대 구축 - 가로등·CCTV·어린이보호구역 통합안전 스마트폴 | 구축완료 |
2022년 | 동작구 | 40 | 스마트폴 표준모델 확대 구축 - 신호등·가로등 스마트폴(상도로 주요 교차로 등) | 구축진행중 (~6월) |
종로구 | 41 | 도로 환경 개선구간 스마트폴 표준모델 교체·신설 - 가로등·신호등 스마트폴(자하문로·세종대로·돈화문로 등) | 구축진행중 (~5월) |
강동구 | 47 | 도로 환경 개선구간 스마트폴 표준모델 교체·신설 - 가로등 스마트폴(구천면로·성안로) | 구축진행중 (~3월) |
용산·성북·중랑·서초구 일대 | 10 | 다양한 ICT 기술 융합 고도화 스마트폴 표준모델 구축 - 전기차 충전 스마트폴, 드론 스테이션 스마트폴 - 서초구(3개), 중랑구(3개), 용산구(2개), 성북구(2개) | 구축진행중 (7개 완료, 3개 예정) |
합 계 | 280 | 구축 완료 : 149 개 구축 진행 중 : 131 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