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중단 방치건축물 신속정비

16일부터 「방치건축물정비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뉴스일자:2021-12-15 09:27:10


▲국토부가 방치건축물정비법」 하위법령 개정안을 오는 16일부터 40일간 입법예고한다. <출처 : 국토부>

 

국토교통부는 방치건축물정비법개정(2021.3.16. 공포, 2022.3.17. 시행)에 따른 후속조치로 방치건축물정비법하위법령 개정안을 1216일부터 2022125일까지 40일간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입법예고된 하위법령에는 직권철거에 따른 건축주 피해보상 기준, 방치건축물 정비 시 주택건설기준 완화 등 개정 법률에서 위임된 내용과 함께 선도사업 절차 간소화, 정비지원기구 확대 등 제도운영 상 보완 규정도 담겼다.

 

우선, 개정법률에서 시장·군수·구청장이 붕괴·화재 등 안전사고 등의 우려가 높은 방치건축물을 직권으로 철거하는 경우, 건축주의 재산권 보장을 위해 피해 보상비를 지급하도록 함에 따라, 직권철거 통보일을 기준으로 산정한 방치건축물의 감정평가금액에서 철거비용을 제외한 금액을 건축주에게 보상비로 지급하도록 했다.

 

지자체로부터 정비사업을 위탁·대행 받은 LH 또는 지방공사 등이 방치건축물을 공동주택으로 정비하려는 경우, 기존 방치건축물을 철거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도록 공동주택 리모델링 시 적용되는 주택건설기준 특례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했다.

 

방치건축물 정비 촉진을 위해 국토부장관이 선도사업계획을 수립하는 경우 건축주 등과 협의하도록 하고 있으나, 협의대상에 시장·군수·구청장이 누락되어 있고 사업계획의 경미한 변경과 관련된 절차가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선도사업 계획수립 시 협의대상에 시장·군수·구청장을 포함하고, 사업계획의 경미한 변경 시에는 건축주 등과의 협의절차를 생략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방치건축물 실태조사, 정비계획 수립 등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한국부동산원을 정비지원기구로 추가하고, 국토부장관이 인정하는 기관도 정비지원기구로 지정될 수 있도록 했으며, 그 밖에 개정법률에 따른 정비사업 시행주체 변경(·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 등 관련 조문을 정비했다.

 

엄정희 국토부 건축정책관은 내년 3월에 시행되는 법률과 이번 하위법령 개정을 통해 공사 중단 방치건축물이 신속하게 정비되고, 지역의 미관 개선과 안전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하위법령 개정안의 입법예고 기간은 20211216일부터 2022125일까지(40일간)이고 관계부처 협의, 규제 및 법제처 심사 등을 거쳐 2022317일 공포·시행될 예정이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