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안) 추진과제 국토교통부가 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수렴을 위해 온라인 공청회를 8일 개최한다. 이번 공청회는 오전 10시30분부터 12시까지 온라인(유튜브)을 통해 실시간 생중계되며, 자유롭게 의견도 개진할 수 있다. 참여방법은 ①한국교통연구원 누리집(https://www.koti.re.kr/index.do)에 접속 후 안내 배너 클릭, ②유튜브에서 “한국교통연구원” 검색 후 시청하면 된다.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은 최초로 자율주행 분야에 특화되어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작년 5월부터 시행중인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자율주행 기반 교통물류 체계의 발전 및 자율주행차의 확산을 목적으로 수립되는 5년 단위 계획이다. 최근 자율주행 기술의 발달과 함께 세계 각 국은 자율주행 셔틀, 택시, 배송 등 자율주행 기반의 교통물류체계의 도입을 위해 경쟁 중이다. 정부는 자율주행차의 조속한 상용화 지원을 위해 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안)을 수립했다. 제1차 기본계획은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수행한 연구용역을 바탕으로 전문가 토론회 등을 거쳐 마련했다. 2025년 자율주행 기반 교통물류체계 상용화 시대 개막이라는 비전과 함께,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국 고속도로 및 시도별 주요거점에서 자율주행 서비스 제공 △자율주행 서비스(10종 이상) 기술개발 △자율차 상용화 및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제도·인프라 기반 완비가 목표다. 추진과제로는 △자율주행 교통물류 서비스 기술 고도화 △자율주행 교통물류 서비스 실증여건 확대 △자율주행 교통물류 서비스 사업환경 조성 △자율주행 안전성 강화 및 기술 수용성 제고 △자율주행 교통물류 생태계 조성이 있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안)」의 비전, 목표 및 추진과제를 발표하고, 관련 전문가들이 공청회 현장에 참석하여 내실있는 계획수립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하여 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 최종안을 마련하고, 국가교통위원회 심의 등의 절차를 거쳐 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을 확정‧고시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