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가 서울 지하철 내 미세먼지 저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터널 내 양방향 전기집진기 45개소 설치를 위한 계약을 업체와 맺고, 여러 부서가 나누어 맡았던 미세먼지 업무를 처장급 정규조직을 신설해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관련법보다 지하철 내 미세먼지 기준을 더욱 엄격하게 지키겠다는 것이 공사의 목표다.
공사는 관련 업체와 터널 내 양방향 전기집진기 설치를 위한 계약을 지난 7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약 128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6호선 구간 터널 내 45개소에 전기집진기를 설치한다는 내용이다. 미세먼지 업무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부서도 새롭게 신설했다. 처장급 정규조직인 '대기환경처'와 더불어 관련 설비를 다루는 '환경설비센터'를 신설, 5월 10일자로 시행한 직제개편에 반영했다. 그 동안 미세먼지 업무는 '미세먼지저감TF'에서 여러 부서의 실무자들이 나누어 맡아오는 구조로 진행되어 왔었다. 공사는 미세먼지 업무의 중요성을 높이 인식, 두 정규조직을 신설해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미세먼지 업무를 맡아 처리할 계획이다.
미세먼지를 줄이려는 공사의 노력은 이전부터 이어져 왔다. 2011년 이전에는 승강장안전문 설치, 노후 환기설비 개량, 고압살수차 도입, 역사 및 전동차 청소 등을 시행해 지하역사 미세먼지 100㎍/㎥ 이하를 달성하는 데 성공했다. 2018년 이후부터는 기존 사업을 계속 이어가면서 터널 양방향 전기 집진기, 승강장 공기질 개선장치, 친환경모터카 교체, 전동차 객식 내 공기질 개선장치 설치, 객식 출입문 에어커튼 시범 설치 등 신규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 그 결과 지난 10년 전과 비교해 역사 내 미세먼지는 37.3%, 전동차 객실 내 미세먼지는 33.0% 줄어든 것을 자체 측정 결과 확인했다.
미세먼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 또한 높아지면서 관련법에 따른 기준 또한 엄격해졌다. 2019년 7월 환경부에서는 실내공기질관리법을 개정해 지하역사 미세먼지 농도 기준을 150㎍/㎥에서 100㎍/㎥으로 강화하였으며, 지하 역사 및 전동차 객실내 초미세먼지 관리기준을 새롭게 세웠다.
공사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서울시와 함께 시민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쾌적한 지하철 환경 조성을 목표로 향후 4년간 소요예산 4000억원을 투입할 예정으로, 터널본선의 환기설비 집진효율 개선 등 4대 분야 20개 대책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미세먼지 저감 사업이 시민 건강권과 직결된 서울시의 중요 사업인만큼, 2024년까지 역사 내 미세먼지는 50㎍/㎥이하, 초미세먼지 30㎍/㎥이하, 전동차 내 초미세먼지는 35㎍/㎥이하로 유지하는 등 실내공기질관리법보다 더욱 엄격한 기준을 수립해 관리할 계획이다.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서울 지하철은 대부분 지하 구간에서 운행되는 데다, 환기구 구조 및 위치·시설의 노후화·공기여과장치의 낮은 효율성 등 구조적 한계상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서울시의 미세먼지 개선 의지에 부응하여, 각종 노력을 통해 2024년까지 지하철 미세먼지 오염도를 50%로 줄이고,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외부 공기보다 더욱 깨끗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