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칙1) 공평한 사용(Equitable Use)
- 다양한 능력의 사람들에게 유용하고 팔릴 수 있도록 디자인한다
- (최대한 동일하게) 모든 사용자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어떤 사용자 집단을 다른 집단과 구분하거나, 낙인을 찍지 않는다 등
원칙2) 사용상 유연성(Flexibility in Use)
- 개인 선호나 장애, 능력과 관련해 넓은 범위에 맞출 수 있도록 디자인한다
- 사용자가 여러 사용 방법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 사용자가 왼손잡이든 오른손잡이든 접근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등
원칙3)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Simple and Intuitive Use)
- 사용자의 경험이나 지식, 언어, 집중도와 무관하게 이해하기 쉽도록 디자인한다
- 필요 이상으로 복잡하지 않게 한다
- 사용자의 기대와 직관에 부합하게 한다 등
원칙4) 알아챌 만큼 충분한 정보(Perceptible Information)
- 사용자의 감각 능력이나 환경 조건과 무관하게 사용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디자인한다
- 필수 정보를 충분히 나타낼 수 있도록 여러 방식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그림으로 표시하고, 소리로 알려주고, 만져서 알 수 있게 한다.
- 필수 정보와 부가 정보가 적절히 대비되도록 한다 등
원칙5) 실수를 감안(Tolerance for Error)
- 사용자가 잘못 쓰거나 예상하지 못한 행동을 하더라도 위험이나 역효과가 최소가 되도록 디자인한다
- 위험과 실수가 최소가 되도록 요소를 배치한다. 가장 많이 쓰는 요소는 가장 접근하기 쉽도록 하고, 위험한 요소는 제거하거나 고립시키거나 방어하는 방식으로...
- 위험이나 실수에 관해 경고한다 등
원칙6) 적은 물리적 노력(Low Physical Effort)
- 사용하기 편하고 피로가 줄이도록 디자인한다
- 균형 잡힌 자세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적절히 조작할 수 있는 힘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등
원칙7) 접근하고 사용하기에 적절한 크기와 공간(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
- 사용자의 체구, 자세, 이동성과 무관하게 접근하고 사용하기 편하도록 크기와 공간을 디자인한다
- 사용자가 앉아 있든 서 있든 중요한 요소들이 잘 보이게 한다
- 사용자가 앉아 있든 서 있든 모든 구성 요소에 손이 닿도록 한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