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시설사용료 감면 효과<출처: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는 코로나19 피해가 장기화함에 따라 항공사 및 지상조업사 지원을 위해 공항시설사용료 감면을 연장한다. 그간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올해 연말까지 공항시설사용료를 감면·유예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방안을 기반으로, 항공업계는 근로자의 고용을 최대한 유지하는 한편, 국내선 확대 및 화물중심으로 수익구조를 개선하는 등 적자규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자구적 노력도 시행해왔다. 그러나 항공사 매출의 약 62.4%를 차지하는 국제선 여객이 사실상 운항중단 상태(전년대비 97% 감소)가 지속돼 정부의 추가지원이 없으면 근로자의 고용불안 등 항공산업 생태계의 유지가 힘든 상황이다. 이에 정부와 인천·한국공항공사는 코로나19의 회복전망이 불투명한 상황과 항공업계의 어려운 경영여건 등을 고려해 추가 지원대책을 마련·시행하게 됐다. 지난 8월 27일 ‘고용‧경영 안정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항공산업 지원방안’에서 발표했던 항공업계 대상 공항시설사용료 감면(3~12월)을 2021년 상반기까지 연장한다. 이에 따라 내년 1~6월까지 6개월간 약 457억원의 추가감면이 적용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존의 지원금액까지 포함하면 총 1210억원의 공항시설사용료 감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공항시설사용료 감면기간 연장과는 별도로, 화물 및 여객수요 회복을 위한 인센티브도 시행한다. 인천공항공사는 화물수요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화물기의 수혜비율이 높은 조명료를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100% 감면할 예정이다. 한국공항공사는 지방공항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국내·국제선 신규취항 및 증편 등에 대해 착륙료·정류료·조명료를 3년간 최대 100%까지 감면할 예정이다. 김상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정부, 공항공사 및 항공업계가 합심해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방안을 찾고 있다”면서 “공항시설사용료 감면 등 직접적인 지원과 함께, 국제 관광비행·트레블 버블 등 코로나 상황에서 가능한 대안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