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하천 실시간 모니터링 개념도<출처: 국토부>
국토교통부가 하천분야 한국판 뉴딜사업의 내년도 예산 2100억원을 확보함에 따라 국가하천 디지털화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지난 2일 2021년 정부 예산안이 국회 의결을 거쳐 확정함에 따라 하천분야 한국판 뉴딜사업인 △국가하천 배수시설 자동·원격 제어시스템 구축예산 1800억원 △국가하천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구축사업 예산 300억원이 확정됐다.
그간 국가하천 관리는 제방 등 하천에 사람이 직접 접근해 상황을 파악하고, 대응하는 인력 의존적 방식이었다. 이에 따라 제방이 정비되어 있음에도 제방 내에 있는 배수시설을 제때 닫지 못해 농경지·가옥 침수가 종종 발생해 왔다.
또한, 기후변화로 국지성 집중호우가 잦아지고 강수량 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홍수와 하천시설 상황을 신속히 파악할 필요가 있으나, 현 체계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었으며, 하천관리영상을 확보할 수도 없어 민원 및 시설 관리에 적기 대응이 곤란했다.
이번에 추진하는 하천분야 한국판 뉴딜사업은 ‘디지털 뉴딜’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SOC 디지털화’의 하나로서, 인력 의존적 하천 관리 방식을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해 △국가하천 배수시설로 인한 침수피해를 방지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홍수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한편, 시설관리와 민원에도 적기에 대응하도록 하는 등 재해예방과 하천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국가하천 배수시설 자동·원격 제어시스템은 국가하천 배수시설(수문·통문)을 하천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하고, 지자체 상황실에서도 원격으로 제어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2020년(1차 연도)에 900억원을 투입해 148개 지자체의 국가하천 배수시설의 실시설계 및 공사에 착수했다.
2021년(2차 연도)은 18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연말까지 전체 구축대상(3580개소) 중 약 57%(2024개소)에 대해 자동·원격제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2022년(3차 연도)에는 전체 사업을 완료할 예정이다.
국가하천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는 국가하천에 하천관리용 CCTV를 설치하고 지방국토관리청 상황실에서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2021년(1차 년도) 300억원을 투입해 설계와 공사에 착수해 도심지구간, 관리 취약지구 등 하천 관리 소요가 큰 구간부터 우선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김보현 국토부 하천계획과장은 “2021년도 적정 사업예산을 확보함에 따라 하천분야 한국판 뉴딜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면서 “하천분야 한국판 뉴딜사업을 통해 국가하천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serrrrr@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