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내 빌딩 전경<출처: pixabay> 정부는 내연차 중심 부품기업 고도화를 위해 2030년까지 1000개 부품기업을 미래차 분야로 전환할 계획이다. 현재 자율주행차‧친환경차 부품생산 기업은 전체 부품기업의 4%인 400여개사 수준이다. 이에 기업활력제고법에 따른 사업재편 승인부품기업을 2020년 13개사 → 2021년 30개사 → 2022년 60개사 등 2022년까지 100개 이상 발굴할 예정이다. 승인기업은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등 금융프로그램, 사업재편R&D 등을 활용해 기술·설비 확보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한다. 또한 사업전환법에 따른 사업전환 승인부품기업에 대해 시설·운전자금 100억원, R&D 5억원 등 최대 105억원 사업전환 패키지도 지원할 예정이다. 완성차사는 내년 전국 32개 중진공 지역본부 내 ‘미래차 전환지원 헬프데스크’를 신설·운영한다. 이에 1~2차 협력사 대상으로 미래차 부품전환 희망기업 60여개를 발굴하고, 정부와 함께 기술개발, 지식재산권 확보, M&A 등 집중 지원할 전망이다. 민간 자본 활용을 통해 공공부문 중심의 추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미래차 뉴 플레이어, 규제 특례 및 新비즈니스 육성 등 시장 자생적인 미래차 확산 기반도 조성한다. 중소‧중견기업들이 전기차 생산에 공동으로 활용가능한 차량플랫폼 개발을 지원해 미래차 제조 뉴플레이어를 육성한다. 완성차가 내연기관·전기버스 제작 중견기업에 수소버스 연료전지 공급을 추진해 중견기업의 수소버스 시장 진입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총 35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 수소충전소 구축, 사업전환, 벤처·스타트업 지원 등에 투자해 미래차 新비즈니스 육성을 지원한다. 스마트대한민국펀드 내 2000억원 규모의 미래차 펀드 조성(2021)하고, 1500억원 ‘BIG 3 펀드’를 연내 결성해 2021년부터 미래차 투자를 개시한다. 규제샌드박스 및 규제자유특구를 활용해 배터리 재활용, 이동형충전기 공유서비스, 자율 셔틀 실증 등 다양한 新사업모델 개발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미래차시대를 대비해 정비시스템을 완비하고, 우수 현장인력 2000명을 양성하는 한편, 충전산업의 지속가능한 투자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 ▲자동차 정비소 <출처: pixabay> 일반 정비소(3만8000개소,2018년)의 2%에 불과한 전기차‧수소차 정비소(600여개)를 2025년까지 5%(2~3000개)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비업체 재직자의 전환교육 이수 의무화 및 전문기관 지정 운영(21~)하고, 미래차 중심으로 자동차학과 교육과정(전문대 등) 전환 지원한다. '미래차 현장인력양성사업'(2021년 16억원)을 통해 전문대와 협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민관 합동 「미래차산업 혁신TF」를 구성·가동해 산업발전과 일자리 확보를 중심으로 정책과제를 수립‧이행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