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서비스 개요도 <출처: pixabay> 정부는 세계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차량 출시를 차질 없이 준비하고, 자율주행 기술활용·인프라·제도 완비를 통해 2025년까지 교통사고 40%, 교통정체를 20% 줄일 계획이다.
또한 고속도로 자율주행이 가능한 자율주행차 안전기준‧보험제도 마련 등 법·제도를 선제적으로 마련하고, 민간은 2022년 부분자율주행 차량 본격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2024년까지는 완전자율주행차를 일부 상용화할 예정이다. ▲정부는 2021~2025년까지 모든 고속도로 4075km 및 주요 간선도로에 C-ITS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출처: pixabay> 모든 고속도로 4075km 및 주요 간선도로는 2021∼2025년까지 C-ITS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C-ITS(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는 ‘車-도로’, ‘車-車’간 통신으로 차량 센서(눈)의 인지기능을 보완해 안전한 주행을 지원하는 필수 인프라다. 또한 2022년까지 전국 모든 일반국도, 2025년까지 4차로 이상 지방‧군도로 정밀지도를 구축‧갱신하고 무상 제공할 계획이다. 올해는 완전자율차 제작 가이드라인 마련 및 임시운행 허가요건 완화를 추진한다. 또한 2024년까지 완전자율주행차 안전기준도 마련한다. 이를 위해 △전염병 확산 방지△노약자 이동권 확보△교통소외지역 등 사회문제 해결에 첨단자율주행기술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언택트서비스 대표사례인 자율배송·무인편의점과 자율주행차 탑승자의 체온‧심박‧혈압 등 진단정보를 인근병원에 송출하는 자율주행차 헬스케어 시범운영을 2023년부터 추진한다. 현재 무인 자율주행 기반 언택트 서비스 기술개발 사업(21~24년, 총 299억원)이 계획 중이다. 자율주행셔틀을 활용해 교통소외지역인 산업단지 근로자와 수도권외 소외지역 노약자를 대상으로 이동편의를 제공하는 시범운행을 추진한다. △자율주행기술개발 혁신사업(2021~2026년, 130억원), △자율셔틀 인포테인먼트 기술개발 및 서비스 실증사업(2021~2024년, 280억원) 등과 연계해 추진할 예정이다. 무인셔틀 등 자율주행차 교통서비스를 자유롭게 실증할 수 있는 시범운행지구를 지정(2020.11월 3개 이상 지정)하고 실증 착수한다. 이를 통해 기업 수요가 큰 양질의 데이터댐을 구축해 중소‧중견기업이 중심이 되는 서비스산업 토양을 만들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영상·위치 등 자율주행 정보 국가표준을 세계최초로 마련하고, 국제표준을 제안할 계획이다. 산업부와 국토부, 과기부 등이 협력해 데이터 생산‧축적‧가공‧공유 체계 마련하고, 중소기업‧스타트업 등 모든 개인과 기업이 부품개발 및 新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자동차산업 미래 기술혁신 오픈플랫폼도 2021~2025년까지 정부가 290억원을 지원해 구축할 예정이다. 자율주행 기술을 국방‧항만 수송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해 핵심기술 확보를 앞당길 계획이다. 자율주행·인공지능 등 미래차 관련 민간의 기술을 군 전력화에 활용할 수 있도록 민군 협력 강화 추진하고, 중장기적으로 군이 자율주행 수송 등을 포함한 첨단 무기체계 개발 등으로 확대 추진한다. 또한 자율운항 핵심기술 개발 추진(2022~2025년, 총 1600억원), 자율운항 선박 성능인증센터(울산) 구축(21~22년)을 통해 선박항만에 자율주행기술 적용을 추진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