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도시디자인②

아동친화도시
뉴스일자:2020-10-31 18:52:45

인도네시아 자카르타州는아동친화도시 그랜드 디자인 2018~2022’ 추진을 통해서 아동친화도시를 조성 중이다최근 이에 대한 성과를 인정받아 국제 NGO Save The Children으로부터아동친화도시상()’을 받음에 따라 목표 달성에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한다아동 복지에 관한 이슈는 인도네시아 중앙정부의 ‘2005~2025 국가장기발전계획(RPJPN)’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아동 복지에 대한 이슈는 크게 3가지로, 낮은 수준의 아동 보호 및 복지, 낮은 수준의 아동 참여 및 역량, 높은 수준의 아동 폭력착취차별로 구성된다.

 

인도네시아 여성아동부는 2030년까지 아동친화적인 나라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 시군을 대상으로 아동친화도시(KLA)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이 프로그램은 총 5개 부문(시민권 및 자유, 가정환경 및 대안 양육, 기초보건, 교육, 특별보호) 24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친화도시란, 아동에 대한 보호와 아동의 권리를 계획적통합적이고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보장하는 개발시스템을 보유한 도시로 정의하며, 자카르타 주지사 아니스 바스웨단은 아동친화적이고 고령친화적이고 장애인친화적인 도시를 만들면, 바로 모두에게 친화적인 도시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 계획은 주 정부의 공간계획과 환경 부지사의 총괄하에 국제 NGO Plan Inter-national의 인도네시아 지부와 협력하여 수립되었으며, 자카르타 2018~2022 중기발전계획 및 전략계획, 지역활동계획 등과도 연계하고 있다.

 

자카르타 아동친화도시 전략<출처-서울시 홈페이지 https://www.si.re.kr/>

 

자카르타 아동친화도시 로드맵<출처-서울시 홈페이지 https://www.si.re.kr/>

 

인프라 조성 측면에서는 아동친화적 통합형 공공공간(RPTRA) 조성 외에도 탁아시설, 수유시설, 스쿨버스, 가로표지판 등의 공공시설을 아동친화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 민간 기업의 사회 공헌 프로그램과 연계할 계획이며, 최근 미취학 아동을 위한 보육기관 32개소 조성 및 무료 운영을 시작으로 맞벌이 부부의 육아 부담을 경감하고자 노력할 예정이다. 아직 20% 수준에 그치는 미취학 아동 보육기관 서비스 접근성을 계속해서 개선하여 2030년까지 100%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한다.

 

더해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州는 어린이가 안전하고 자유롭게 뛰어놀며 교육효과까지 누릴 수 있는 아동친화적 통합형 공공공간(RPTRA)을 지난 2015년부터 조성하고 있으며, 이 사업에 박차를 가해 구()마다 1개소 이상을 보유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다.

 

RPTRA는 전 주지사 아혹의 대표적 프로그램으로 2015년부터 시작했으며, 현 주지사 아니스 바스웨단도 계속해서 추진 중인 자카르타의 대표적인 아동친화적공간 조성 프로그램이다.

자카르타주는 이 프로그램으로 2017년과 2018년 연속해서 인도네시아 아동의 날을 맞이하여 수여하는아동친화적인 도시상을 수상했으며,최근 아구스 구미왕 사회부 장관은 자카르타주의 아동친화 프로그램이 인도네시아 전역으로 확대될 필요성이 있다고 역설했다.

 

자카르타 아동친화적 통합형 공공공간 <출처-서울시 홈페이지 https://www.si.re.kr/>

 

2017년 말 기준, 북 자카르타시 64개소 등을 포함해 자카르타주 전체 267개구 중 총 164개 구에 293개소가 조성되어 있으며, 놀이시설뿐 아니라 간호실, 다용도홀, 도서관, 공중화장실도 구비했다.

어린이가 자유롭게 뛰어놀며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자카르타 스마트시티 포털과 연계된 CCTV도 설치했고, 미끄럼틀, 그네, 농구대, 뱀사다리 게임판 등 다양한 놀이시설 마련되어 있다. 시립도서관과 연계한 이야기책 제공 등 문화예술 활동장소로도 기능해, 어린이를 동반한 부모뿐 아니라 근처에서 쇼핑근무 중인 성인도 찾는 공간이 되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기금으로도 RPTRA를 조성할 계획이며, CSR 기금의 집행은 시정부가 아니라 주정부에서 관할한다.

또 각 구는 RPTRA의 관리자를 주민 공모로 선발하고, 시립도서관은 RPTRA 관리자에게 스토리텔링 워크숍을 제공하여 유치원생과 초등학생의 흥미를 자극하는 활동을 수행한다. 최근 인도네시아 내 약물 오남용이 증가함에 따라, 어린이 안전을 위해 RPTRA 관리자를 대상으로 약물검사를 하고, 약물 위험성에 관한 교육을 시행하기 시작했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