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녹색 공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천 개의 숲, 천 개의 정원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지난 5년간(2014년~2018년) 서울 전역에 총 2203개(숲 1038개소, 정원 1165개소)의 숲과 정원을 탄생시키고, 여의도 공원의 약 6배에 달하는 공원 면적을 확충했다.
시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2022년까지 총 3000만 그루를 심는 ‘2022-3000, 아낌없이 주는 나무심기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작년에는 목표였던 500만 그루를 훨씬 웃도는 827만 그루를 심어 165% 이상 초과 달성하여 나무심기의 성공적 사례로 자리 잡았다.
▲아낌없이 주는 나무심기 프로젝트 포스터 <출처:서울시> 3000만 그루 나무심기를 통한 생활밀착형 ‘도시숲’ 형성으로 볼 수 있는 효과로는 △노후 경유차 6만4000대가 연간 내뿜는 미세먼지 평균 25.6% 저감, 초미세먼지 평균 40.9% 저감 △에어컨 2400만대 5시간 가동하는 것과 동일하게 도심 온도를 낮추고 △성인기준 연간 2100만명이 쉴 수 있는 산소 공급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시는 급변하는 기후 변화와 대기 질 등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이 같은 계획을 세웠다. ▲미세먼지 대응 도시숲 조성사업 참고자료 <출처:산림청>
시는 올해 3000만 그루 나무심기를 조기 달성 목표로 정하고, 4대 핵심 전략을 중심으로 추진한다.
첫째, 도심·생활권역에 다양한 녹화 방법을 도입하여 도시환경 개선을 위해 공원·광장·옥상·벽면 및 교통섬 등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도입하는 등 지역별·장소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녹화 방식을 추진한다.
움직이는 숲의 경우 2019년에 광화문 광장 등 10개소에 조성하며 “나무 식재로 환경이 좋아지고 쾌적해졌다”라는 시민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움직이는 공원 사례 <출처:서울특별시 공식 블로그>
둘째, 대규모 공터 및 유휴공간 활용 등 다양한 생활밀착형 ‘도시숲’ 조성·녹화를 위해 외곽 산림에서 생성되는 차갑고 신선한 공기를 도심으로 유도 확산하도록 하고, 한강과 주요 하천의 수변환경에는 적합한 울창한 숲을 조성한다.
또한 올림픽대로·공개공지등 유휴부지에는 키 큰 나무·키 작은 나무·초화류를 활용한 다층 숲이 조성된다.
▲숨은 땅 찾아 나무심기 사례 <출처:서울특별시 공식 블로그>
셋째, 시민과 함께하는 나무심기 확대를 위해 민간기업의 사회공헌활동(CSR) 녹화사업과 시민 참여형 나무심기를 적극 추진한다.
특히, 지난 2013년부터 2019년까지 164개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서울시의 대표적 민관협력으로 자리매김한 성공적 사례로 평가받은 바 있으며, 지속적으로 탄소 상쇄 숲 조성 등 다양한 사업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작년 한 해 시민들의 많은 관심으로 시민 1300여명이 참여해 서울시 전역 주택가 공지 및 나대지 등에 80만 그루를 식재하며, 좋은 성과를 거둔 ‘숨은 땅 찾아 나무심기’ 사업도 올해 추진할 계획이다.
▲탄소상쇄숲 시민참여 사례 <출처:서울특별시 공식 블로그>
넷째, 나무심기 시민체감도 향상과 나무 심는 사회 공감대 형성을 위해 홍보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나무심기 문화를 확산시키고, 많은 시민의 자발적 참여와 소통 확대를 위해 SNS·블로그·유튜브 등 온라인 채널을 통해 나무심기와 관련된 카드뉴스·웹툰·동영상 등을 제작하여 시민들과 공유한다.
또한 공원·지하철·버스·따릉이 등 공공시설에 전광판·조명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홍보활동을 적극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서울시에서는 누구나 쉽게 참여가능하며 재미와 의미를 부여한 릴레이 나무심기 캠페인을 온라인·오프라인에서 실시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