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는 중앙부터와 지자체 협업으로 모든 가용 정책수단을 점검해 서울권역 중심으로 주택 총 26만2000가구+α를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신규공급 13만2000가구와 공공분양 사전청약 6만가구, 5.16 대책 이후 공급예정인 7만가구에 더해 추가 주택을 공급한다. 국토부는 이번 대책을 포함해 향후 수도권 지역에 총 127만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에 군부지와 이전기관 부지 등 신규 택지를 최대한 발굴하기로 했다. 또 노후단지도 고밀로 재건축해 도심 내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신규택지를 발굴해 3만3000가구를 공급한다. 이 가운데 태릉CC와 용산 캠프킴 등 도심 내 군부지에서 1만3100가구 규모다. 공공기관 이전부지와 유휴부지에는 6200가구를 공급한다. 과천청사 일대 4000가구와 서울지방조달청 1000가구, 국립외교원 유휴부지 600가구 등이다. 특히 정부 소유 부지는 최대한 청년과 신혼부부에게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한국토지주태공사(LH)와 서울주택공사(SH) 등 공공기관이 매각하지 않은 부지에도 4500가구가 공급된다. 대상지역은 △상암DMC 2000가구 △SH마곡 1200가구 △천왕 400가구 △LH여의도 300가구다. 이외에도 퇴계로5가 등의 노후 우체국에 1000가구, 서부면허시험장 3500가구, 면목행정타운 1000가구, 구로시립도서관 300가구를 복합개발을 통해 6500를 공급할 계획이다. ▲서울의료원 위치도 및 조감도 <출처 : 국토교통부> 용산정비창과 서울의료원 등 기존의 복합개발 예정 부지의 주거기능도 강화한다. 서울의료원은 부지를 넓혀 기존 800가구에서 3000가구로, 용산정비창은 8000가구에서 1만 가구로 공급을 확대한다. ▲3기 신도시 등 용적률 상향 및 기존 사업 고밀화<출처 : 국토교통부> 3기 신도시 등은 밀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2만4000가구를 추가 공급한다. 당초 대규모 공공주택지구 20만5000가구, 중소규모 공공주택지구 6만1000가구, 택지개발지구 3만가구,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 7000가구 총 30만3000가구를 공급할 예정이었으나 2만가구를 추가해 32만3000가구를 공급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