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그간 투기수요가 주택시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출 규제와 세제 강화 등 시장안정 대책을 지속 추진해왔다. 그러나 단기 투자, 갭 투자 등 수요관리에 일부 한계를 드러내며, 패닉바잉 열풍을 불러왔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4일 주택공급 확대 TF회의에서 서울시의 갭 투자 비중이 56.5%로 그중 강남 4구(강남, 송파, 서초, 강동)가 80.0%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30대의 갭 투자 매수 비중도 서울 31.1%, 강남 4구 22.6%로 조사됐다.
21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자료도 이를 뒷받침한다. 한국감정원은 지난 7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 1만6002건 중 33.4%인 5345건을 30대가 매입했으며, 40대(28.82%), 50대(17.85%), 60대(10.22%) 순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7.10 대책을 통해 다주택자와 단기 보유자 등 투기성 대책 구매자에 대한 세금 부담을 대폭 강화한 바 있다. 주택 구매의 기대수익률을 낮춰 수요관리의 근본적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