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골목상권 육성 현황 ①

서울시, 신정6동‧난곡동‧창신 등 5곳 선정…2022년까지 60곳 조성 목표
뉴스일자:2020-07-31 19:35:20

▲지난해 11월 시범 실시된 ‘생활상권 기반사업’중 ‘손수가게’로 선정된 업소.<출처: 송파구>


서울시가 지하철역과 학교, 동주민센터 등 도보생활권 내 ‘상권’을 주민 스스로가 살리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대형마트, 온라인쇼핑에 밀려 활기를 잃어가는 골목상권을 되살려 발길을 돌렸던 동네 단골을 되찾겠다는 취지다.
 
시는 낙후된 동네가게들을 지역주민이 즐겨 이용하는 생활상점으로 새롭게 단장해 골목경제를 살리는 생활상권 육성사업 대상지 5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지난 27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곳은 △양천구 신정 6동 일대 △관악구 난곡동 일대 △종로구 창신동 일대 △서초구 방배2동 일대 △송파구 가락본동 일대다.

시는 지난해 11월 1차로 8곳의 후보지역을 예비 선정하고, 이 지역에 △추진위원회 구성 △커뮤니티스토어 운영 △손수가게 발굴·지원 등 3개 과제를 부여했다. 이들 지역은 자체적 추진위원회 구성해 올해 6월까지 7개월간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시는 성과를 평가해 최종 5개 지역을 선정했다. 

생활상권으로 선정된 5곳에 대해선 1차로 자문위원회가 지역특성과 유동인구, 구매성향과 같은 소비패턴을 분석해 이를 바탕으로 컨설팅을 해준다. 이 컨설팅을 바탕으로 신상품 개발, 주민편의시설 설치 등의 실행은 지역 내 추진위원회가 맡는 방식이다. 

생활상권 육성을 위해 시는 올해 우선 지역당 3억여 원을 지원하며, 3년간 최대 30억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서초구 생활상권 조성사례<출처: 서초구>

이번에 선정된 ‘서초구 방배2동’일대는 주민자치위원장을 중심으로 상인, 주민, 직능단체회원들로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지역 내 ‘손수가게’를 적극적으로 육성했다. 손수가게는 가게 주인이 국산농산물을 주재료로 음식을 만드는 식당으로 주민들에게 믿을 수 있는 식당이라는 이미지를 갖게 돼 코로나19에도 매출이 오를 정도였다. 
▲송파구 가락본동 주요 사례<출처: 서울시>

송파구 가락본동 일대는 커뮤니티스토어에 집중했다.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SNS 플랫폼을 개설하고, 마을 신문도 제작했다. 또 주민 설문을 통해 어린이 도서, 공구, 장난감 등 사용하지 않는 유휴물품들이 교환할 수 있는 보물상자도 설치했다. 이외에도 주민 300명 이상의 의견을 수렴해 주민이 원하는 생활서비스를 발굴 및 제공하는 커뮤니티스토어 내 운영 중인 카페의 어닝과 벤치 등을 설치해 매출향상에도 도움을 줬다. 

시는 올해 하반기에 생활상권 후보지 20곳을 선정하고, 내년 초 최종 10곳을 추가로 선정할 계획이다. 또 2022년까지 총 60개 지역에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서성만 서울시 노동민생정책관은 “현재 서울시내 자영업의 약 70%정도가 생활상권 내 분포돼 있다”며 “생활상권 조성은 관주도가 아닌 지역주민과 상인을 주축으로 스스로 실행하는 방식으로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는 지속가능한 모델”이라고 밝혔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