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평-관악 잇는 서부선 경전철 민자적격성 조사 통과

서울시, 1·2·6·7·9호선과 환승 및 새절-노량진 31→15분 단축…2028년 개통 목표
뉴스일자:2020-06-22 13:28:08

▲서부선 경전철 위치도<출처: 서울시> 

 

은평구 새절역과 관악구 서울대입구역을 잇는 서부선 경전철이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 대표적 교통 소외지인 서북권(은평, 서대문)과 서남권(동작, 관악)이 도시철도로 이어짐에 따라 도시균형 발전을 촉진할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22일 서울시는 서부선 경전철 민간투자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KDI PIMAC)의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서부선 경전철은 은평구 새절역(6호선)에서 관악구 서울대입구역(2호선)까지 총연장 16.15km, 16개 정거장으로 건설된다. 기존 5개 간선 도시철도와 환승하며 연계하는 지선노선으로 2000년대 초 노선을 계획한 지 20년 만의 결실이다. 

서부선 경전철이 완공되면 과도하게 우회하던 이동경로와 복잡한 환승으로 지체됐던 이동 시간이 대폭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신촌, 여의도와 같이 대학‧상업‧업무지구 등 통행수요가 많은 지역까지 한 번에 연결될 뿐만 아니라 1‧2‧6‧7‧9호선과도 환승하며 주요구간의 통행시간이 최대 16분 단축돼 출퇴근 등 이동시간이 크게 감소한다. 
▲서부선 경전철이 완공되면 새절역에서 서울대입구역까지 약 36분에서 22분으로 14분 단축된다. 

현재 시점인 새절역(6호선)에서 마지막 종점인 서울대입구역(2호선)까지 이동시간은 지하철 최단시간 기준으로 1회 환승, 약 36분이 걸리는 반면, 서부선이 완공되면 약 22분으로 14분 단축된다. 종점인 서울대입구에서 노량진, 장승배기로 이동할 시에는 약 23분에서 7분으로, 약 22분에서 6분으로 최대 16분이 단축되는 등 이동시간 단축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서부선은 2000년 발표한 교통정비 중기계획에 처음 반영된 이후 2008년과 2015년에 수립한 1차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줄곧 포함됐다. 서부선 경전철은 현재 국토부 승인 과정인 2차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에도 반영돼 대중교통 사각지역 해소를 위한 핵심사업 중 하나이자 지역주민의 오랜 숙원사업이다. 

시는 서북‧서남부를 도심부와 직결하는 새로운 교통축을 완성해 지역 균형발전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그간 시는 도시철도를 공공재로 규정하고 지역 균형발전의 상징성을 지닌 서부선 경전철 사업이 필요하다고 보고 민자적격성 조사 통과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2017년 3월 민자적격성 조사를 의뢰한 이래로 상당기간 동안 민자적격성 조사 통과를 쉽게 예단할 수 없었다. 이에 시는 최신 데이터베이스(KTDB) 적용, 검토기간 중 확정된 철도계획(GTX-B 등) 추가 반영과 더불어 KTDB 연구기관(한국교통연구원, 경기연구원)이 수요예측을 위한 효용함수를 개선하도록 유도하는 등 정확한 분석이 되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 결과 이달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 

이번 민자적격성 조사 통과를 계기로 사업 추진이 본격화된 만큼, 앞으로 민간투자심의 등 관련 행정절차를 거쳐 올해 하반기에는 시행‧운영사 선정을 위한 제3자 제안공고를 실시할 예정이며, 2023년까지 실시설계를 완료한다. 2023년에는 착공에 나서 2028년에는 개통될 수 있도록 사업관리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부선 경전철은 서울의 대표적인 철도인프라 소외지역인 서북권과 서남권을 연결하는 새로운 교통축으로, 고질적인 차량정체를 해소하고 도심 접근성은 높여 균형발전을 앞당기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며 “특히 서북권과 서남권은 그동안 각종 개발에서도 소외된 지역이기에 서부선 경전철은 지역균형발전의 상징성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serrrrr@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