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 혁신 중소‧벤처기업 육성 박차

국토부, 10대 분야 스타트업 1000개, 중소‧벤처 250개 스케일-업 등 지원안 발표
뉴스일자:2020-06-18 11:54:50
국토교통부가 국토교통 혁신 중소‧벤처기업 지원‧육성에 박차를 가한다. 2025년까지 스마트건설 등 국토교통 혁신 10대 분야서 1000개의 스타트업 기업을 육성하고, 250개 중소‧벤처기업을 고속 성장기업으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지난 17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스마트건설지원센터의 2센터 건립 착수식을 열고, 국토교통 혁신 중소‧벤처기업 지원‧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10대 중점육성 분야는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드론 △스마트건설 △녹색건축 △스마트물류 △공간정보 △철도부품 △자동차 애프터마켓 △프롭테크다. 

▲스마트건설지원센터 개요<출처: 국토부>

국토부에 따르면 스마트건설 분야는 2018년 9월 스마트건설지원센터를 건립해 26개 입주기업이 창업공간‧기술개발 등 패키지 지원으로 해외사업 기술공급 계약체결 등 구체적인 성과를 냈다. 제2센터가 내년 말 완공되면 55개 이상 기업이 입주해 체계적인 지원을 받게 된다. 

국토부는 스타트업 창업 붐을 위한 유망주기업 지원 프로그램(Rising Star)과 고속성장기업 육성 프로그램(Business Champion)을 운영할 예정이다. R&D 및 자금지원과 지원시설 설립을 통한 원스톱서비스 제공이 핵심 내용이다.

국토부는 내년 창업‧자금조달‧마케팅 등 노하우 전수를 위해 액셀러레이팅 사업을 신설한다. 이달 중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을 기업지원 허브로 지정해 R&D 및 혁신기업 지원을 총괄한다. 스타트업 기술개발은 내년부터 상향식 R&D 지원을 통해 기업 당 최대 4억 원(3년간)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한다. 각종 경진대회와 창업캠프 등 수상 기업에는 창업공간과 비즈니스 인큐베이팅을 지원하고, 스마트시티 등 일부 분야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예비창업패키지 등을 활용한 부처 간 협업도 강화한다. 

중소벤처기업을 고속성장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R&D, 지원시설 사업도 추진한다. 내년부터 창업 3년 이상 기업의 사업화 및 시장진출 등 스케일-업을 위한 R&D 지원으로 기업당 최대 20억 원(3년간)을 지원한다. 벤처캐피털 투자유치를 위한 국토교통 혁신펀드는 올 9월 170억 원 규모로 첫 출시돼 지속 확대한다. 

국토교통 벤처밸리(가칭)도 조성된다. 판교2밸리, 제주 등 조성 중인 산업입지에 국토교통 혁신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집적‧융복합 공간을 마련하고, 관련기관과 함께 입주해 원스톱 현장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10대 중점 육성분야별로 국토부 내 지원전담관(과장급) 및 지원담당코치(4, 5급)를 지정해 적극적 유권해석 및 제도개선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달 중 국토교통 R&D 우수 결과물을 혁신제품으로 지정해 정부‧지자체‧공공기관 구매를 촉진하는 혁신구매 패스트트랙 제도도 도입한다. 공공 공사에 필요한 기술을 공모 개발하는 공공공사 연계형 R&D는 올해 3개 기술을 공모한다. 

김현미 장관은 “스마트시티, 드론, 스마트건설 등 국토교통 분야는 많은 부가가치와 일자리창출이 기대되는 혁신산업”이라면서 “혁신기업에 대한 초기 공공구매 확대, 금융지원강화, 규제애로 해소 등을 통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든든한 동반자가 되겠다”고 밝혔다. 

serrrrr@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